• 식량작물
  • 논벼
벼 생육상황조사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평균 기온 상승, 가뭄 발생으로 인한 조기 출수 등 벼의 생육이 기존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시기별 벼 생육 상황을 분석하여 병해충 방제, 시비량 조절 등 기상 재해에 대비한 기술지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벼 생육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영상을 통해 벼 생육 조사 요령에 대해 알아보자

  • 농촌진흥청
  • 2023 년
  • 1,483
시나리오

벼 생육 조사 1편. 벼 생육조사란? 아시아를 대표하는 식량작물 하면요. 첫 번째로 아마 많은 분들께서 벼를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마찬가지인데요. 이 ‘벼’ 하면은 사실 생산성이 굉장히 높고요.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같은 영양분이 굉장히 풍부한 작물 중 하나죠. 농촌진흥청에서는요!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벼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매년 특별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하거든요. 어떤 조사인지 오늘 다양한 이야기, 지도사님을 모시고서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도사님 먼저 소개부터 좀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저는 여기 농촌진흥청 식량산업기술팀에서 벼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농촌지도사 엄미옥입니다. 네, 반갑습니다. 지도사님! 혹시 식사하셨나요? 네, 먹었습니다. 네, 대한민국 사람의 힘이 밥심에서 나온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한국인의 밥상, 우리나라의 대표 작물, 아시아의 대표 작물 하면 이 벼를 뺴놓을 수 없잖아요. 이 벼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조사가 있다고 들었어요. 어떤 건가요? 네, 저희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조사이고요. 시군의 벼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조사 필지를 선정해 벼 생육 시기별 조사 항목에 따라 조사하는 벼 생육상황조사인데요. 이때 조사한 결과들은 꼼꼼하게 분석해 영농시기별 농업인 기술지원 자료로 활용되고요. 농림축산식품부, 농촌경제연구원, 지방농촌지도기관에 농작물 수급 안정과 기술지원 자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편. 생육 조사 시기 그렇군요, 이 벼의 생육에 관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가지고 재배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어찌 보면 '안내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생각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렇다면 벼의 생육 조사는 언제쯤 이루어지고 있는 건지 궁금해요. 네, 말씀하신 대로 정말 중요한 조사이고요. 벼 생육상황 조사는 벼의 주요 생육 시기인 6월부터 9월까지 매월 1일과 16일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총 8회 실시하는데요. 조사 기준일이 공휴일일 때는 전날이나 다음 날 조사하고, 천재지변으로 인해 조사가 불가한 경우에는 가능한 최단 시일 내에 실시해야 합니다. 3편. 조사 포장 및 지점 선정 아, 이게 조사할 수 있는 기간도 정해져 있는 거네요. 그렇다면 어디에서 조사가 이루어지는지도 상당히 궁금한데, 이 벼를 심어 놓은 논이라면 어디에서나 조사가 가능한 건가요? 아닙니다. 생육조사를 위해서는 먼저 조사 포장을 선정해야 하는데요. 조사 포장 선정 기준은 설치 시군의 식부면적에 따라 자율적으로 조정하되 1,000ha 미만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고, 1,000~6,000ha 미만은 3개소, 6,000~12,000ha 미만은 6개소, 12,000ha 이상은 9개소 등 설치기준을 참고해 적정한 개소수를 선정 운영합니다. 설치지역은 산간지, 중간지, 평야지의 대표적인 들에 설치하며, 지대별 조사 포장 수는 관내 벼 재배면적 비율에 따라 설치합니다. 예를 들어 관내 벼 재배면적이 15,000ha이고, 지대별로 산간지 2,000ha, 중간지 5,000ha, 평야지가 8,000ha일 경우에는 산간지 1개소, 중간지 3개소, 평야지에 5개소를 설치하면 되고요. 시군별 조사 포장은 관내 통계청 지방청(사무소)와 협의 결정하되, 선정 포장이 대표할 수 없는 포장이라고 판단되면 농업기술센터소장 책임하에 적지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포장 선정만큼 조사지점을 선정하는 일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맞습니다. 조사지점 선정은 논을 길이 방향으로 3등분을 해 선을 그은 다음, 대각선을 그어 교차하는 2개 지점을 기준점으로 선정하는데요. 선정된 조사지점에는 표시 막대를 설치하고, 연중 같은 지점에서 조사합니다. 그리고 조사 결과는 2개 지점 조사 값을 평균하여 산출합니다. 4편. 조사 항목 연구사님! 생육 조사는 벼의 생육 상황을 파악하고 생산량 예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셨잖아요. 그럼, 시기별로 어떤 항목부터 조사해야 하나요? 네. 1회 조사는 6월 1일에 실시하는데요. 이때는 ㎡당 포기수(㎡당 입모수)와 키, 포기당 줄기수를 조사합니다. 그리고 2회와 3회 조사는 6월 16일과 7월 1일에 하는데요. 이때는 키와 포기당 줄기수(㎡당 줄기수)를 조사하고요. 4회 조사는 7월 16일에 하며 이때는 키와 포기당 줄기수, 조생종 벼의 출수예정일을 조사합니다. 5회 조사는 8월 1일에 진행하며, 조생종의 출수기와 중생종과 중만생종의 출수 예정일, 포기당(㎡) 이삭수와 조생종의 이삭당(㎡) 총 낟알수를 조사하고요. 8월 16일, 6회 조사에서는 조생종과 중생종, 중만생종의 출수기와 포기당(㎡) 이삭수, 이삭당(㎡) 총 낟알수를 조사합니다. 이후 7회 조사는 9월 1일에 하는데요. 이때는 포기당(㎡) 이삭수와 이삭당 완전 낟알 수, ㎡당 완전 낟알수를 조사하고요. 마지막 8회차는 9월 16일에 조사하며, 조·중·중만생종 포기당(㎡) 이삭수와 이삭당(㎡) 완전 낟알수, 완전낟알수 비율을 조사합니다. 5편. 항목별 조사 방법 와~ 이렇게 많은 내용을 정확하게 조사하려면 조사 요령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맞습니다. 벼는 생육 시기별로 조사 항목이 달라 조사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숙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첫 번째로 ㎡당 포기수를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기준포기를 중심으로 포기와 포기 사이 그리고 줄 사이 간격을 좌우 각 5포기씩 십자형으로 거리를 cm 단위로 측정합니다. 이후 측정한 포기 사이와 줄 사이 거리를 10으로 나누어 포기와 줄 사이 거리 평균값을 구한 다음 10,000㎠를 포기 사이와 줄 사이를 곱한 값으로 나누고, 소수점 두 자리까지 계산해 반올림해 ㎡당 포기수를 환산합니다. 두 번째는 키 조사 방법인데요. 조사 포기는 기준 포기에서(기준 포기는 조사 안 함) 포기 사이를 중심으로 좌우 5포기(총 10포기)를 조사합니다. 조사 방법은 각 포기 원줄기의 길이를 지면에서부터 잎끝까지의 길이를 측정해 평균을 산출하며, 첫 조사 할 때 원줄기에 라벨을 붙여 계속 조사하도록 합니다. 세 번째는 포기당 줄기수 조사 방법인데요. 조사 포기는 키 조사와 같으며, 총 줄기수를 조사해 평균을 산출합니다. 이때 분얼경수는 두 잎 이상 완전히 전개되고, 세 번째 잎이 1cm 이상 자란 줄기만 조사합니다. 네 번째는 출수 예정일과 출수기 조사인데요. 출수 예정일은 어린 이삭 길이와 엽이간장 길이를 기준으로 추정합니다. 어린 이삭 길이에 의한 조사는 총 줄기수 조사지점에서 5포기의 원줄기 어린 이삭 길이를 조사해 평균을 환산합니다. 그리고 지엽이 나온 이후에는 엽이간장 길이에 따라 추정하면 됩니다. 또한, 출수기 조사는 총 줄기수 조사지점의 총 줄기수 중에서 40%가 출수한 날을 출수기로 정하면 됩니다. 다섯 번째, 이삭 당 총 낟알수는 이삭수가 평균인 포기의 전체 이삭을 채취해 낟알수를 조사한 다음, 이삭수로 나누어 평균을 환산하면 되는데요. 완전 낟알수는 벼알 형태가 정상이고, 눌러 봤을 때 알이 꽉 찼을 경우 완전 낟알로 계산하며, 수정이 안 됐거나 벌레 먹은 것은 제외합니다. 그리고 ㎡당 낟알수는 이삭당 낟알수와 포기당 이삭수, ㎡당 포기수에 의해 환산합니다. 6편. 병해충 조사 와~ 시기별로 정말 꼼꼼히 조사해야 할 것 같은데요. 이때 병해충 발생 여부도 함께 조사해야 하는 거죠? 맞습니다. 병해충 발생 조사 또한 병행하고 있는데요. 벼에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병 10종, 해충 12종에 대하여 발생상황을 6월부터 9월까지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병해충 발생 정보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업로드해 국민 여러분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 오늘 설명을 듣고 나니까 벼 생육 조사의 중요성이 더 와닿았는데요. 맞습니다. 벼 생육조사 결과는 비료주기, 병해충 방제, 기상재해 대책을 수립하고, 벼 작황 전망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조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사 담당자는 각 시기별로 정확하게 조사해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해야 합니다. 네. 조사자료가 효율적인 현장기술지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는 만큼 조사 담당 선생님들의 어깨가 더 무거울 것 같은데요. 부디 이 귀한 자료들이 영농현장에서 잘 활용돼 올해도 풍년 소식을 들을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