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소
무 주요 병해충 및 생리장해 - 1. 주요 병

무는 배추와 함께 우리나라 대표적인 채소로 재배면적도 상당히 넓다. 무는 가을철 서늘한 기후에 잘 자라지만 여름 재배의 경우 다양한 병해충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름 재배가 수행되고 있는 고령지 지역을 중심으로 병해충 방제가 필요하다. 영상을 통해 무의 주요 병해충 및 생리장해에 대해 알아보자.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22 년
  • 1
시나리오

1. 주요 병 무에 주로 발생하는 병은 무름병, 시들음병, 뿌리혹병, 바이러스 병이 있는데요 무름병의 주요 피해 증상은 무 잎이 노랗게 변해 죽는데, 나중에는 엽병 가까이에 있는 뿌리 쪽부터 잎이 부패해 떨어집니다. 또, 위에서 보면 식물체의 중심부가 연화되고 부패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식물체에서 잎을 지지하는 뿌리 위쪽을 손으로 눌러보면 쉽게 구부러지며 내부는 연화 부패 돼 악취가 나는데요. 이것이 전형적인 병증입니다. 무름병은 토양을 통해 병원균이 전염되는데요.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특히 발병이 심하며, 무, 배추, 상추 등과 이어짓기를 하면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무름병 방제를 위해서는 콩과 등 비기주 작물과 함께 돌려짓기하고, 건조한 조건이 되도록 배수와 통풍이 잘되게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무 식물체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고, 전염 매개충인 파리목 곤충을 방제해야 합니다 시들음병에 걸린 무의 피해 증상은 식물체의 아래 잎이 누렇게 변하고 생육이 불량해지다가 포기가 시들어 죽는데요. 병이 진전되면 노란 잎이 점점 많아져 새로 나온 잎까지 노랗게 변합니다. 시들음병에 걸리면 생육이 지연되는데요. 병징을 보이는 무를 뽑아 내부를 잘라보면 무의 유관 속과 속이 옅은 갈색으로 변해있습니다. 시들음병은 토양이 산성이고,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잘 발생하는데요. 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시들음병이 발생한 재배지에서는 연작을 피하고, 토양에 오랫동안 물을 대어 놓거나 태양열로 토양을 소독합니다. 또, 병이 발생한 재배지에서는 석회를 시용해 토양 산도를 높여주고, 선충 등 토양 해충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며, 미숙퇴비 사용을 금하고, 염류 농도를 높지 않게 관리해야 합니다 뿌리혹병에 걸린 무의 피해 증상은 잎이 오그라들어 아랫잎부터 늘어지고, 뿌리에 크고 작은 혹이 여러 개 달려있습니다. 병든 뿌리는 갈색으로 변해 악취를 내며 썩기도 하고, 기온이 높은 한낮에는 시들었다가 이후에는 회복되는 증상이 반복되다가 결국은 포기 전체가 시들어 죽습니다 뿌리혹병 재배적 방제 방법으로는 한번 병이 발생한 밭에서는 십자화과 채소(무, 배추, 상추, 갓 등)를 심지 말고, 돌려짓기해 병원균의 밀도를 낮춰줘야 합니다. 또, 뿌리혹병은 산성토양에서 잘 발병합니다. 따라서, 토양에 따라 씨뿌리기 전에 10a당 200kg 정도의 소석회를 시용해 토양산도를 pH7.0 이상으로 조절하고, 발병이 심한 재배지에서는 파종 시기를 늦춰 발병 적온이 18~25℃ 정도인 온난한 계절을 피해 재배합니다. 약제 방제로는 토양소독을 위해 플루아지남 입제를 전면 살포한 직후 골고루 뒤섞어 소독해 줍니다. 무에 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은 오이 모자이크바이러스,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 무 잎맥 투명 바이러스가 있는데요. 발병한 잎은 주름이 생겨 오그라들고, 기형화되며 건전한 것에 비해 엽편이 현저하게 작아지며 위축됩니다. 또, 생육 초기에 발병한 식물은 생육이 지연되고, 뿌리도 커져 상품 가치가 없어지며, 품종과 지역에 따라 뿌리 표면에서 울퉁불퉁해지고, 육질이 단단해집니다. 무 바이러스 병은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기 때문에 방제를 위해서는 진딧물의 기주가 되는 잡초나 중간 기주와 병든 식물을 발견 즉시 제거하고, 살충제를 살포해 방제해 줍니다. 어린 모에 감염이 되면 피해가 크기 때문에 육묘기에 출입문에 방충망을 설치하고, 피해가 적은 품종을 선택해 재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