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소
  • 채소육묘
채소 종이포트 묘 생산 기술

종이포트묘는 생분해성 종이를 원통형으로 감싼 후 그 안에 상토(흙)을 채워 일정한 길이로 자른 뒤 전용 트레이(연결 판)에 담아 기른 묘를 말한다. 종이포트를 이용하면 육묘 단계에서도 결주(빈포기) 나 생육이 늦은 식물체 분류가 쉬워 묘를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20 년
  • 4,075
시나리오

채소 종이포트 묘 생산 기술


곽: 안녕하세요. 유용한 농업기술을 발 빠르게 전달하는 농발전 아나운서 곽동휘입니다. 여러분 혹시 요즘 농업과 관련된 인기검색어 뭔지 아세요?


제작진: 도시농업? 스마트 농업? 


곽: 아뇨! 아뇨! 모두 틀렸습니다. 바로 종이 포트묘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종이 포트묘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담당 연구사님 모셔서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 네, 안녕하세요.


1. 플러그묘와 종이 포트묘 차이점


곽: 연구사님! 현재 농가에서는 이렇게 플러그 묘를 사용하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 종이 포트묘와 플러그묘 어떤 점이 다른 건가요?


장: 플러그묘는 가로 54cm, 세로 28cm 석유계 수지로 만들어진 ‘플러그 트레이’라는 연결형 용기를 이용해서 길러진 묘를 가리킵니다. 말씀하신 대로 현재 농가에서는 주로 플러그묘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플러그묘는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기 전에 모종을 뽑게 되면 흙과 함께 뿌리가 끊어지거나 손상되서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종이포트 모종은 뿌리 부분이 생분해성 종이로 둘러 싸여져 있어서, 뿌리가 발달하기 전에 옮겨도 뿌리 손상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아주심기 단계뿐만 아니라 육묘 단계에서도 결주나 생육이 늦은 식물체의 분류가 쉽기 때문에 균일묘 생산이 가능합니다.


2. 종이 포트묘란?


곽: 그럼. 종이 포트묘에는 어떤 기술이 들어간 건가요?


장: 네. 이게 종이 포트묘입니다. 종이 포트 묘는 이렇게 생분해성 종이를 원통형으로 감싼 후에 안에 상토를 채워서 일정한 길이로 자른 뒤에 전용 트레이에 담아 기른 묘입니다. 따라서 그냥 이렇게 들어도 흙이 떨어지지 않고 용기하고도 쉽게 분리기 됩니다. 이 셀룰로오스 재질의 종이는 아주심기 후에 땅에 사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데, 작물에 따라서 분해기간이 다른 종이를 이용하게 됩니다. 채소 육묘 시에는 보통 1~2달 정도 걸리는 종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 종이 포트묘 장점


곽: 그러면 이렇게 쏙 뽑아 툭 심으면 되니까 Q: 작업속도도 엄청 빨라지겠는데요?


장: 맞습니다. 종이 포트묘는 가진 장점이 참 많은데요. 하나는 종이 포트묘의 뿌리 분포가 완전히 되기 전에 어린 묘 단계에서 묘를 옮겨 심어도 상토의 부서짐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육묘단계에서 통기성과 배수성이 좋고, 생육이 늦은 식물체 분류가 쉽기 때문에 균일한 묘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결주 즉, 빈 포기가 적고, 상토 흐트러짐이 거의 없어서 육묘량을 10% 절감할 수 있습니다.
네번째는 종이 포트 표면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상토의 열을 낮추기 때문에 뿌리부근의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어서 지하부 환경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섯번째는 아주심기 할 때 육묘 용기를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섯번째는 아주심기 할 때 기계나 손으로 심기가 매우 유리하고, 아주심기 노력을 줄일 수가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4. 종이 포트묘 자재 및 기계


곽: 와~ 정말 장점이 엄청 많은데요. 그런데 육묘를 직접 하시는 분들도 있잖아요. 종이 포트 육묘도 농업인들이 이용할 수 있나요?


장: 네. 직접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종이 포트를 만드는 기계를 구매해야 하고, 별도의 자재가 필요한 만큼 규모가 큰 농가나 육묘를 하시는 분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곽: 네~ 그러면 어떤 기자재들이 필요한지 소개 좀 부탁드릴게요.


장: 먼저 분해기간이 1~12달 이상인 생분해성 종이와 전용 연결 트레이 그리고 전용 상토 등 자재가 필요합니다. 이 자재를 이용해 종이포트를 제조하는 제조기계가 있습니다. 현재 시중 사용되는 종이포트 제조기계는 국산(농촌진흥청에서 개발) 제품과 수입제품이 있는데요. 국산 제품 같은 경우에는 시간당 3000장 정도에 제조가 가능합니다.


5. 종이 포트묘 생산 과정


곽: 준비물만으로는 비교적 간단해 보이는데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궁금해요.


장: 이해하기 쉽게 제가 영상을 준비해 봤습니다. 먼저, 작업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 장치는 상토공급부, 종이 공급부, 종이 접착부, 종이포트 절단부로 구성이 돼 있습니다.

①원통형 종이 안에 잘 부순 상토를 넣고, ②적당한 크기로 잘라냅니다. ③종이로 감싼 흙 블록은 모종판에 올리고, ④씨앗이 들어갈 구멍을 뚫고, ⑤씨앗을 한 알 씩 넣고, ⑥흙을 덮고 물을 주는 과정이 모두 하나의 기계 안에서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6. 작물별 파종 및 육묘


곽: 파종이 순식간에 자동으로 뚝딱 하고 완성되네요. 일손이 크게 줄어들 거 같은데요. 그렇다면 모든 채소 육묘에 종이포트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장: 토마토, 오이는 물론 고추, 상추, 부추, 근대, 파슬리 등 다양한 채소들의 육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토마토 종이포트 접목 묘 생산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육묘온실에서 접수와 대목을 종이 포트에 파종한 뒤 물을 충분히 줍니다. 싹이 나오면 하루 한 번 정도 물을 주시고, 본잎이 나오면 상태에 따라 양액(EC 0.5~1.5ds/m, pH5.5)을 줍니다. 파종 후 28일이 지나면 잘 자란 접수와 대목을 접목하게 되는데 접목 후 일주일이 지나면 활착이 마무리됩니다. 이후, 접목묘를 육묘온실로 옮겨서 약 20일 정도 키우게 되면 아주심기에 적당한 건강한 토마토 접목묘가 완성이 됩니다. 보통 수경재배 경우에는 본잎이 5장 정도 전개 됐을 때, 토경재배 경우에는 플러그묘와 같이 7~8장 정도의 본잎이 전개 됐을 때 아주심기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 두 번째로 오이 종이 포트묘는요? 오이 종이 포트 묘는 육묘온실에서 128공 플러그 트레이에 접수와 대목을 파종하게 됩니다. 일주일 후 싹이 나면 접목을 하고 플러그 트레이에서 40 또는 50공에 종이포트로 교체를 하게 됩니다. 접목 후 일주일이 지나서 활착이 된 오이 종이 포트 묘는 육묘온실로 옮겨서 2~3주 정도 더 키우면 아주심기에 알맞은 모종이 되게 됩니다. 육묘 할 때는 양액농도를 1배액정도로 관리해 주시고요, 육묘일수는 30일 정도로 합니다.
세 번째 고추 종이 포트묘는 원통형 종이포트 40 또는 50공 트레이를 이용해서 50~70일간 육묘하면 되는데요. 마찬가지로 육묘 전용양액(한방 EC 1.4dS/m)을 이용해서 양액관리를 해줍니다.


곽: 이 종이 포트 묘도 주의해야 될 점이 있겠죠?


장: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종이포트는 뿌리 부분이 공기 중에 노출돼 있기 때문에 플러그묘에 비해서는 수분 증발량이 많은 편입니다. 따라서 종이포트의 특성을 고려해서 물 관리나 양분 관리에 주의하셔야 합나다.


7. 아주심기 후 관리


곽: 그럼 생분해성 종이가 분해될 때까지는 시간이 있어서 아주심기 후에 관리하는 방법이 좀 다를 것 같은데요?


장: 네. 종이포트가 분해되기 전까지는 모종의 뿌리가 제대로 내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분해와 뿌리내림이 촉진될 수 있도록 충분한 관수 그리고 지온 등의 환경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8. 농가 활용 사례

곽: 연구사님 이 종이 포트 묘가 이미 농가에서는 사용 중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러면 과연 농가에서는 어떤 효과를 보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장: 네, 현재 토마토와 오이 재배 농가에서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잠깐 이야기 들어보실까요?


<인터뷰 : 김진방 농업인>
“포트에서 추측 분리가 아주 용이하게 쉽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뽑았을 때 이 실뿌리가 아주 상하지 않아서 정식을 했을 경우에 활착이 다른 포트보다는 빨라요. 또 이게 병에도 강해서 우리가 아주 만족하고 있습니다. ”


곽: 사용 농가의 이야기를 들으니까 이 종이 포트묘가 더 대단해 보이는데요. 그런데 연구사님 종이 포트묘는 옮기기도 쉽고 다루기 쉬워서 소량의 튼튼한 모종을 손쉽게 구입하길 희망하는 도시농부들에게 인기가 많을 것 같습니다.


장: 맞습니다. 장점 많은 종이 포트묘 많이 이용하셔서 채소를 재배하는 농가 모두가 꼭 풍년의 기쁨을 누려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곽: 네!! 채소재배에 도전하시는 분이라면 생분해성 종이를 이용한 종이 포트묘 많이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