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수
  • 사과
긴털이리응애의 사육법

사과원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의 천적으로는 이리응애류, 무당벌레, 총채벌레류, 거미류, 노린재류, 풀잠자류 등이 있다. 이중 증식배율이 높아 생물적방제에 이용이 효과적인 긴털 이리응애의 실내 사육법과 효과적인 활용법을 알아본다.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02 년
  • 5,202
시나리오

제 목 : 긴털이리응애의 사육법


  최근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환경보전의 추세에 따라 사과원에서도 생물적 방제를 통한 병해충 종합관리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 중 사과해충 응애류인 이리응애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는 이탈리아 등 외국에서 이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여기서는 점박이응애의 천적인 긴털이리응애의 사육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방제가 필요한 응애류와 천적


  우리나라 사과원에서 방제를 필요로 하는 응애류는 주로 사과응애와 점박이응애입니다.

이들 응애류로부터 피해를 받은 잎은 황갈색으로 변색되며 심한 경우 8월 이후 잎이 떨어지고, 과실의 비대생장과 착색, 꽃눈형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응애류에 의한 잎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응애류의 포식성 천적들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리응애류, 무당벌레, 총채벌레류, 거미류, 노린재류, 풀잠자 등이 응애류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이리응애의 생리생태


  우리나라에서 점박이응애의 생물적 방제에 가장 유망한 종은 긴털이리응애입니다. 긴털이리응애 암컷의 발육기간은 약 4.3일 정도이며, 하루 평균 산란수는 약 2.1개로 암컷 1마리당 총 산란수는 약 34.3개입니다. 긴털이리응애가 하루동안 먹는 점박이응애 알의 양은 암컷이 약 11.4개, 수컷이 3.0개 정도입니다.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의 접종비율을 4 : 1로 하였을 때 방제효과가 91.5%로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비율을 기준으로 사과원 방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긴털이리응애의 농약에 대한 살충률을 알아보면 만코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살균제가 50% 미만의 살충률을 나타냅니다.

  곤충생장조정제와 비티제, 그리고 4종의 유기합성 살충제는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독성이 낮은 반면 대부분의 미생물 농약이 높은 살충률을 보입니다. 응애약은 아바멕틴과 플루페녹스론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높은 살충률을 보이지만, 10년 이상된 제품들은 살충률이 낮은 경향을 보입니다.


3. 이리응애의 사육


  긴털이리응애를 실내에서 사육하기 위해서는 우선 점박이응애와 점박이응애의 기주식물로 활용되고 있는 강낭콩을 재배해야 합니다. 우선, 우량한 강낭콩과 지름 7cm 높이 7cm인 스치로폴컵, 밧드, 원예용 부농상토를 준비합니다. 스치로폴컵에 원예용 부농상토를 채운다음 강낭콩을 2~3개씩 점파한 후 물을 주고 20~30℃의 온실에 둡니다.

 

   재식 후 나흘째가 되면 발아가 되고 파종 7일째가 되면 본엽 2매가 나옵니다. 파종 열흘째 강낭콩 본엽이 2매 이상 자랐을 때 긴털이리응애의 먹이인 점박이응애를 컵당 300마리씩 강낭콩에 접종합니다. 그런 다음, 가로 36cm, 세로 32cm, 높이 5cm의 밧드에 물을 2~3cm 깊이로 넣고 강낭콩 컵 4개을 밧드에 담은 후 접종 5일째 점박이응애가 증식된 강낭콩 엽병을 자릅니다.


  다음은 이리응애 접종및 증식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접종 및 증식을 위해 밧드에 물을 4cm 깊이로 넣은 다음 다목적 바구니를 엎고 윗면에 알루미늄 쿠킹호일을 깔아놓아야 하며 응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방으로 크리넥스로 둘러줍니다. 이어서 강낭콩 엽병을 3개씩 밧드에 꽂은 다음 이리응애를 20마리 이상 접종하고 점박이응애가 증식된 강낭콩 잎을 2일 간격으로 공급해 줍니다.


  긴털이리응애는 접종 15일째 되면 200에서 300마리 정도로 증식을 하는데 이리응애 접종 3~4주 후부터는 증식효율이 감소하므로 밧드를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긴털이리응애를 20마리 접종할 경우 증식 13일째에 200마리인 약 10배 정도로 증식하게 됩니다. 점박이응애를 계속 공급할 경우 3~4일마다 지속적으로 수확이 가능하게 됩니다.


  최근 우리나라 사과재배 농민의 의식수준 향상으로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가 정착 및 발전되고 있습니다. 또한 병해충 종합관리를 실시하는 사과원에서 긴털이리응애가 자연 발생하여 점박이응애의 생물적방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긴털이리응애 등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리라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