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소
  • 단고추(피망,파프리카,착색단고추)
파프리카 병해충

파프리카는 비타민C와 카로틴이 많고 기능성이 높으며 상당히 단맛도 있어 앞으로 소비가 신장될 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재배농가의 지속적인 선진기술 습득 등 부단한 노력의 결과로 매년 신선농산물 수출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품성 저하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꾸준한 연구 개발과 농가 기술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파프리카 병해충의 효과적인 예방과 대책을 알아본다.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2 년
  • 3,445
시나리오

제 목 : 파프리카 병해충



 각종 비타민 등 영양분이 풍부해서 국내 소비뿐만 아니라 수출도 증가하고 있는 파프리카! 하지만, 농가에서는 각종 병해충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파프리카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의 증상과 대책에 대해 알아봅니다.


1. 흰가루병


 흰가루병은 잎 표면에 밀가루를 뿌린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나다가 병이 진전되면 점차 황색으로 변하면서 잎이 떨어집니다. 병원균은 병든 포기에서 월동하고 밤낮의 기온 차가 심한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인터뷰 - 이성찬 박사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흰가루병은 병이 발생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질소비료를 너무 과용하지 말고 인산과 칼리비료를 적정하게 시비해서 작물 환경을 개선하여 작물을 건강하게 키우는 게 중요합니다. 병이 발생되면 병든 포기는 뽑아 버리고 수확 후에는 병든 잔재물을 모아 소각하는 등 전염원을 제거해야겠습니다.”


2. 시들음병


 시들음병은 아랫잎에서부터 시드는 증상을 보이다가 병이 심해지면 포기 전체가 말라 죽게 됩니다. 또한, 뿌리는 갈색으로 변하는데 부패한 뿌리를 절단해 보면 줄기 내부의 색깔이 누렇게 되어 있고 그 안에 까만 점 같은 것들이 박혀있습니다. 병원균은 토양으로 전염되는데요. 주로 뿌리의 상처 부위를 통해 침입해서 식물을 시들게 합니다. 시들음병은 현재 약제 방제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종자 소독을 하여 파종해야 합니다. 또한, 질소 비료를 많이 주지 말고 토양검정을 하여 pH 6.0~7.0으로 조절하는 등, 재배 환경을 개선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병든 포기는 조기에 발견해서 제거하고 잔재물이 포장에 남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시들음병이 많이 발생했을 때는 한 달 이상 담수하여 토양 내 병균의 밀도를 낮추고 최소한 3~5년간 윤작을 하는 게 좋습니다.


3.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종류에 따라 병징의 차이가 있는데요. 잎에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나고, 새로 나온 잎이 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줄기와 잎자루 등에는 갈색으로 길게 반점이 나타납니다. 또한, 열매는 얼룩 줄무늬가 생기거나 기형과가 되며, 심하면 잎과 꽃눈이 떨어지고 잔가지가 죽기도 합니다.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방제를 위한 종자 소독은 제3인산소다 10%액에 2시간 침지한 다음 물로 세척하여 파종하거나, 50°C에서 1일간 처리한 후 70°C에 4일간 건열처리방법으로 소독합니다. 그리고 토양소독제인 훈연제를 처리할 때는 약해의 염려가 있으므로 등록 약제의 주의사항을 숙지한 후에 소독해야겠습니다. 이 외에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잠두위조바이러스, 감자Y바이러스는 매개충인 진딧물 방제를 잘해야 합니다. 또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등은 병원성이 약한 약독계통의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방제하면 효과적입니다.


<인터뷰 - 이성찬 박사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풋마름병과 역병은 토양 수생 전염균으로 많은 비가 올 시, 시설 내부가 침수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탄저병은 적용약제로 방제하고, 관수 시 관수액이 파프리카 과실에 튀지 않도록 관리해줘야겠습니다.”


4. 꽃노랑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는 주로 어린잎이나 생장점 부근에서 피해가 먼저 나타나는데 잎이 뒤틀리거나 구부러져 기형이 되고, 심하면 포기 전체의 생육이 위축됩니다. 꽃노랑총채벌레가 발생했을 때는 잎과 줄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토양에 관주 처리하여 토양 속의 번데기를 함께 방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약제를 살포할 때는 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집중 방제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또한, 애꽃노린재, 이리응애 등, 천적을 이용해서 방제하면 꽃노랑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습니다.


5.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은 어린싹이나 잎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 먹기 때문에 잎이 위축되거나 기형이 되고 생육이 정지됩니다. 또한, 진딧물이 배설한 감로가 잎과 열매에 붙으면 그을음병이 발생해서 품질이 떨어집니다. 복숭아혹진딧물은 적용약제를 잎의 뒷면에 고루 묻도록 살포하여 방제합니다. 또한, 천적인 싸리진디벌을 발생 초기에 방사하면 방제 효과가 있습니다.


6. 담배나방


<인터뷰 - 이성찬 박사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담배나방은 유충이 잎을 갉아 먹거나 열매 안으로 들어가는데요. 유충이 먹어 들어간 열매는 낙과됩니다. 또한, 유충이 계속 다른 열매로 옮겨가면서 가해하기 때문에 적기에 방제하지 않으면 피해가 커지므로 주의해야겠습니다.”



 담배나방을 방제하려면 온실 내를 자주 살펴보고 잎이나 열매에서 유충이 먹은 흔적이 발견되면 적용약제로 즉시 방제해야겠습니다. 파프리카는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잘 지켜 방제해야 합니다. 특히, 수출할 때는 수입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준수해야 하므로 세심하게 주의해야겠습니다. 이 점을 재배 현장에서 꼭 실천해서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파프리카를 생산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