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소
  • 토마토
토마토 주요병해충 및 생리장해

실제 토마토 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생리장해와 병해충 증상을 소개하고 그 원인과 대처방안을 알아본다.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07 년
  • 13,638
시나리오

 

제 목 : 토마토 주요 병해충 및 생리장해


  토마토 재배는 거의 사철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교적 다비, 다습, 고온을 요구하는 작물로 재배 중 각종 병해충과 생리장해도 많이 발생되는 작물입니다.


1. 토마토의 주요 병


가. 흰가루병


  흰가루병은 잎 표면에 밀가루를 뿌린 것 같이 하얀 곰팡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후에는 잎이 점차 누렇게 변하여 낙엽이 지는데 토마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입니다.

  이 병의 발생을 줄이려면 질소비료를 많이 주어 초세가 너무 왕성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공중습도가 높거나 건조한 조건하에서도 많이 발생하므로 너무 과습하거나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나. 잎 곰팡이병

 

  잎 곰팡이병은 아랫잎부터 시작하여 윗잎으로 잎의 표면에 흰색 또는 담갈색의 병반이 형성되어 오래되면 연한 자색으로 변합니다. 또한 병반위에는 갈색의 곰팡이가 융단처럼 나타납니다.  이 병은 지나친 관수와 밀식을 피하고 환기를 잘해서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질소질 비료를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토마토에 주로 발생하는 병에는 이외에도 잿빛곰팡이병, 풋마름병, 시들음병 등이 있습니다.


2. 토마토 주요 해충


가. 온실가루이

  

  온실가루이 성충은 주로 어린잎의 뒷면에 무리지어 생활합니다. 잎에 침을 삽입하여 즙을 빨아 먹는데 많을 때는 잎색이 바래고 위축됩니다.

  또한 온실가루이가 흡즙한 액체를 잎에 떨어트린 자리에 곰팡이가 서식하면서 그을음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온실가루이 방제는 유충의 피해가 없는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하우스의 출입문과 환기창에 한냉사를 설치하여 시설내로 성충이 날아들어 오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노란색 끈끈이 트랩을 식물체 높이로 설치하여 발생초기에 중점적으로 방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나. 잎굴파리


  잎굴파리 유충은 잎 속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갉아먹는데 피해부위는 흰색의 줄모양이 생기고 점차 갈색으로 변색되며,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죽게 됩니다. 방제법으로 출입문과 환기창에 한냉사를 설치하고, 시설 내 노란색 끈끈이를 설치하는 것은 온실가루이와 같습니다. 천적으로는 굴파리좀벌과 굴파리고치벌이 이용됩니다.

  이외에도 시설채소에 흔히 발생하는 응애나 총채벌레도 주요 해충입니다.


  토마토에 발생하는 주요 생리장해에는 이상줄기, 착과 호르몬 장해, 창문과, 착색불량과, 공동과, 배꼽썩음과, 열과 등이 있습니다. 이 중 대표적인 생리장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상줄기는 처음에 줄기가 지나치게 굵어지고, 줄기의 일부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괴사한 뒤 7~14일 후부터 차츰 마디 사이가 세로로 움푹하게 들어가고, 증상이 심할 때는 가운데에 구멍이 생겨 반대쪽까지 뚫리게 됩니다.

  따라서 본줄기에 이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면 원줄기를 절단하고 곁가지를 원줄기로 대체하도록 합니다. 또한 정식 후 붕사 0.3%(물 1말 당 60g) 액을 5일 간격으로 3회 잎에 살포합니다. 이때 배양액의 농도를 EC 1.7ms/cm 이하로 낮추어 관리해야 합니다.

 

  착과 호르몬 장해는 착과제 처리의 부작용으로 잎이 가늘어져서 작은 잎 현상을 나타내고 기형으로 되며 회색빛을 띄게 되는 현상입니다.

  착과제를 살포할 때 꽃에만 묻고 가급적 잎에는 묻지 않도록 주의해서 살포해야하며, 온도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살포해야 합니다. 고온건조 할 때나 토마토의 세력이 약할 때는 가능한 사용하지 않거나 농도를 묽게 처리합니다. 이때 장해가 심하게 나타난 잎줄기는 일찍 순지르기를 하여 곁가지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꼽썩음병은 말은 병이지만 실제로는 병이 아니고 석회결핍에 의한 영양장해 증상입니다. 재배 하기 전에 석회를 시용하면 발생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토마토는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사계절 내내 소비되는 과채류입니다. 병해충이나 생리장해는 가급적 환경관리를 잘해서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발생이 되더라도 약제방제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천적을 이용하는 등의 친환경적인 방제로 안전성이 높은 고품질의 토마토를 생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