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수
  • 사과
사과 주요 생리 장해

사과나무는 재배환경 또는 관리방법이 부적합하거나 각종 영양소의 흡수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생리장해가 나타난다. 사과에 나타나는 생리장해의 종류와 원인, 그리고 이에 대한 방지대책에 대해 알아보자.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23 년
  • 750
시나리오

사과 주요 생리 장해 1편. 미량요소 과부족에 의한 증상 사과 생리장해는 병해충이나 물리적 피해가 없는 상태에서 잎, 가지, 과실 등의 외부 형태와 구조에 이상이 생기거나 생리적 기능이 정상이 아닌 증상을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는 주로 각종 영양소가 균형적으로 흡수되지 못하면서 나타납니다. 따라서 작물의 영양제인 비료 사용은 토양, 기상환경, 재배관리 방법에 따라 흡수 난이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입지 조건에 맞는 재배 기술을 실천하면 생리장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데요. 사과에 주로 나타나는 생리장해의 종류와 원인, 그리고 방지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사과 생리장해는 미량요소가 균형적으로 흡수되지 못하면서 나타나는데요. 미량요소 결핍 및 과잉되기 쉬운 조건은 첫째, 사과원의 유효토심이 낮아 뿌리가 지표 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토양 안에 존재하는 미량요소들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을 때입니다. 둘째는 석회를 시용하지 않거나 과다 사용할 때인데요. 토양이 산성화되면 인산이 토양에 고정되어 부족하기 쉽고, 철, 망간, 아연, 구리 등은 과다하게 녹아 나와 과잉장해를 일으킵니다. 또, 강우시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염기와 붕소 등과 함께 유실되어 결핍되기 쉽게 합니다. 셋째는 시비가 부적절할 경우인데요. 특정 성분이 함유된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적게 사용하면 비료 요소 간의 상호 작용으로 장해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넷째는 토양이 건조하거나 습기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인데요. 토양이 과도하게 건조하면 토양 내 수분에 녹아있는 영양분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흡수할 수 없고, 토양 수분이 많은 상태로 오랫동안 지속되면 뿌리의 호흡작용이 억제되어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없어 뿌리 자체도 죽게 됩니다. 2편. 과실의 반점성 장해 사과 과실의 반점성 장해는 과피 또는 과육에 작은 반점상의 괴사조직이 발생하는 생리장해인데요. 반점 크기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 이하로 5㎜ 이하의 것이 많으며 여러 가지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 반점성 장해의 종류 ①고두병 고두병은 생리장해로 인해 발생하는 반점성 장해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고두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주로 과실 적도면 아래쪽 부위의 과피에 주로 발생하는데요. 초기에는 붉은색을 띠다가 점점 오목한 반점으로 진전되는데 적색 품종은 암적색, 황색 품종은 녹색 또는 회록색 반점이 됩니다. 반점 부위 아래 세포는 거의 붕괴되고, 과육은 암갈색의 스펀지 상태가 되며 반점이 나타난 부위는 쓴맛이 있고 마마처럼 들어간다고 해 고두병이라고 불립니다. 과실의 외관을 훼손하며 저장 중에 피해 부위로 부패균이 침입해 과실을 부패시켜 피해가 더 커집니다. ② 코르크스팟 코르크스팟은 발생 시기는 8월 하순에서 수확기까지 발생하지만 저장 중에는 발생하지 않는 것이 고두병과는 다른데요. 발생 부위는 주로 과실의 적도면 보다 위쪽에 나타나며 과실 전체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반점은 과피와 과육부에 발생해 과면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고 그 아랫부분은 갈색으로 변하며 코르크화돼 딱딱해지고 흑색, 적색, 녹색 등을 띱니다. 나. 원인 고두병과 코르크스팟 발생의 주된 원인은 칼슘결핍인데요. 5~6월 강우가 적고 장기간 건조하거나 생육 후기에 강우가 많은 해에 칼슘 흡수가 부족하면 발생이 잦습니다. 또, 과피에 칼슘 함량이 400ppm 이하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과실과 잎, 가지 사이에 칼슘의 흡수 경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수세를 안정시키고, 과실에 충분한 칼슘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 대책 고두병과 코르크스팟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칼슘결핍을 막기 위해 질소와 칼리의 시비를 제한해야 하는데요. 이는 질소가 과다하면 칼슘이 과실에 분배되는 양이 적어지고, 칼리는 칼슘 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칼슘결핍 장해가 나타나는 과원은 질소와 칼리 시비량을 줄이거나 무비료로 2~3년간 재배하도록 합니다. 또, 질소는 시용 시기에 따라 고두병 발생 정도에 큰 차이가 있어 생육 전반기에는 되도록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수세가 강한 나무에서는 과실에 칼슘 축적이 어렵기 때문에 수세를 안정시키고, 소석회 또는 고토석회 비료를 10a에 200~300kg 사용해 칼슘을 공급해야 합니다. 3편. 재배 관리상 발생하는 생리장해 가. 동녹 1) 증상 동녹은 과피가 매끈하지 않고 쇠에 녹이 낀 것처럼 거칠어지는 증상을 보이는데요. 거칠게 보이는 물질은 코르크 조직으로 이들이 표피세포 바깥층인 큐티쿨라층 밖으로 튀어나와 형성됩니다. 2) 원인 동녹은 낙화 후 10~40일에 과피 보호 큐티쿨라층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외부의 자극이 생기면 발생하기 쉬운데요. 특히 다습한 조건은 큐티쿨라의 발달을 저해하며, 수세가 강한 나무에서는 과실 비대의 일변화가 심해 큐티쿨라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 동녹이 많이 발생합니다. 또, 중심과에 비해 측과에서 발생이 많고, 직사광선, 약해, 병해, 저온, 기계적인 상처 등도 동녹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3) 대책 예방을 위해서는 발생이 심한 품종은 낙화 후 10일 이내에 작은 봉지를 씌워 주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데요. 작은 봉지 대신에 생석회와 탄산칼슘 등과 같은 피막제를 낙화 직후부터 1주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살포하거나, 지베렐린(GA4+7) 100~200ppm을 이 시기에 살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외에도 적정량의 질소 시비를 통해 수세를 안정시키고, 유과기에 동녹 발생을 조장하는 유제, 보르도액, 구리수화제 등을 살포하지 말아야 합니다. 나. 밀병 1) 증상 밀 증상은 저장 중에 과육 갈변 장해의 원인 또는 요인이 돼 생리장해로 취급되는데요. 과육 또는 과심의 일부가 수침상으로 변하고 그 부위가 황색 또는 황록색을 띱니다. 증상을 보이는 과실은 전분 냄새가 사라지며, 감미가 증가하고, 품종 특유의 향기가 나는데요. 발생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딜리셔스, 레드 골드, 후지와 신육성 품종인 홍로에서 발생이 잦고 골든 딜리셔스, 쓰가루, 육오 등의 품종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원인 밀증상 발생은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요. 기온이 높을 때 발생이 빠르고 현저히 많습니다. 또, 과실의 수확시기가 늦고, 과실이 크며, 1과당 잎 수가 많을수록 발생이 증가하며, 일반 대목보다 왜성대목에 접목한 사과나무에 많이 발생합니다. 후지는 수확 1개월 전인 10월 상순부터 밀 증상이 시작돼 10월 하순이 되면 현저히 증가하는데요. 증상이 확대되는 것은 11월 이후부터이며, 무대과실이 유대과실에 비해 발생도 빠르고 그 증상도 큽니다. 3) 대책 밀증상은 정도가 약한 것은 저장 중에 소실되지만 심한 것은 내부 갈변의 원인 돼 상품성을 떨어뜨립니다. 따라서 과실 저장 전에 횡단면의 밀 발생 정도를 보아 저장기간을 결정하고, 큰 과실은 저장을 피하며, 생육기에 염화칼슘 0.3%액을 3~4회 엽면살포 하면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 열과 1) 증상 열과는 열매꼭지 부위에서 잘 발생하는데요. 과피가 탄력성을 잃은 후에 갑작스런 강우로 인해 많은 수분이 과실로 흡수되면 과피가 이를 견디지 못하고 터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2) 원인 열과는 가을철 이후에 과실이 비대해질 때 탄력성이 적은 과피 부분을 기점으로 쉽게 발생하는데요. 쓰가루 품종의 경우 수확 전 낙과방지를 위해 옥신계통의 생장조정제를 고농도로 살포하거나, 중복 살포한 경우에 열과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후지의 과경부 열과는 과실이 크거나, 수령이 어리고 수세가 강한 유목, 투수성이 나쁜 상태의 토양에서 열과 발생이 많습니다. 기상 조건으로는 7월 하순부터 9월에 걸쳐서 강수량이 많은 해일수록 피해가 큽니다. 3) 대책 열과 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만개 후 60일 이내에 봉지를 씌워 재배하는 것이 가장 좋고요. 둘째, 후지 열매꼭지 열과의 경우에는 발육 초기나 중기에 비가 적게 올 때는 관수를 해 적정 토양 수분을 유지하고, 심토파쇄와 암거배수를 통해서 토양의 투수성을 좋게 해줍니다. 셋째, 염화칼슘 0.3%액을 6월 하순부터 1주일 간격으로 3~4회 잎에 뿌리면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넷째, 직사광선을 받는 부위의 과실은 열과 발생이 높아 일찍 수확해야 합니다. 다섯째, 쓰가루 품종의 경우 수확 전 낙과방지제를 사용할 때 칼슘화합물을 0.3% 정도 혼용해 살포하고, SS기를 이용할 때는 중복 살포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사과 생리장해는 증상이 나타나면 상품 가치가 크게 떨어져 예방에 더욱 신경 써야 하는데요. 특히 비료 요소의 과부족에 의한 생리장해는 치유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평소에 시비와 재배관리 방법, 토양 조건에 만전을 기하고, 장해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한 진단과 엽면시비 등의 조치를 취해 고품질의 사과를 생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