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량작물
콩 생육 상황 조사 요령

콩의 생육조사 방법과 조사시기별 조사방법과 생육조사시 필요한 준비도구와 사용법, 포장선정 및 조사지점 선정방법에 알아본다.아울러, 콩 생육조사방법 뿐만 아니라 국가농작물 병해충 관리시스템(NCPMS)에 입력하는 방법을 영상으로 살펴본다.

  • 농촌진흥청
  • 2023 년
  • 714
시나리오

콩 생육 상황 조사 요령 1편. 콩 생육 상황 조사란? 콩은 쌀에 부족한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간장, 된장 같은 전통 식품의 원료이자 두부, 콩나물 등 필수 식품의 재료인데요. 한국인의 식탁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콩 소비량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국민의 건강증진과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꾸준한 생산이 요구되는데요. 이를 위한 콩 재배 기술 지도와 재해대책 기술지도 자료로 활용되는 ”콩 생육상황 조사 요령“에 대해 알아봅니다. 안녕하세요. 연구사님! 영양덩어리 콩 재배와 기술지원을 위해 매년 실시하는 조사가 있다고요. 어떤 조사인가요? 네, 콩 파종 후부터 수확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각 시군농업기술센터 담당자가 조사하는 콩 생육상황조사인데요. 조사 결과는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신속히 집계 분석하고, 조사일을 포함해 2일 이내에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이후 조사결과는 문서 또는 PC 저장장치로 10년간 보존하면서 농업인 현장 기술 지원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편. 생육 조사 시기 아~ 콩 재배에 필요한 10년간의 생육 상황 정보를 금년의 생육상황과 비교 분석할 수 있으니까 농작업을 할 때 좋은 기술지원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겠네요. 그럼 콩 생육 조사는 언제 이뤄지나요? 네, 콩 생육 상황 조사는 매년 6월 16일부터 9월 16일까지 매월 1일과 16일 2회에 걸쳐 총 7회 조사하는데요. 생육 상황 조사 기준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전일이나 익일을 기준으로 조사하고, 천재지변으로 인해 조사가 불가할 때는 조사가 가능한 시점에서 최단 시일 내에 실시합니다. 3편. 조사 포장 및 지점 선정 연구사님, 조사 포장 선정과 지점 선정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콩 생육 상황 조사 포장은 일반 농가 포장이나 농업기술센터 보유한 포장 중 조사목적에 적합한 포장을 선정하여 활용하는데요. 주산단지 또는 주 재배지역의 재배면적 등을 감안해 선정하고요. 가능한 지난해에 조사한 포장이나 인근 포장을 선정해 전년과 평년의 생육 상황을 비교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조사 하고자 하는 지역에서 생육이 중간 정도로 예측되는 3곳의 포장을 선정하는데요. 생육 상황 조사지점은 포장의 전체적인 생육상태를 확인해 생육이 균일한 지점 3곳을 선정해 폴대로 표시한 다음, ~3번째 생육하고 있는 개체를 횡으로 조사합니다. 그리고 연중 동일한 지점에서 3회 반복적으로 조사해 평균치를 활용합니다. 4편. 조사 항목 연구사님! 생육 조사는 콩의 생육 상황 파악 농업인 기술지원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셨잖아요. 그럼, 시기별로 어떤 항목을 조사하나요? 네. 콩 생육 조사는 초장, 경장, 잎 수와 개체 수, 가지 수 그리고 개화기, 꼬투리 수, 알 수를 조사하는데요. 작부 유형과 조사 시기에 따라 조사 항목이 다음 표와 같이 다릅니다. 따라서 조사 전에 조사 항목을 충분히 숙지하셔야 합니다. 5편. 항목별 조사 방법 와~ 작부 유형과 조사 시기에 따라 조사 방법이 다르니까 현장에 나가기 전에 조사 항목을 정말 꼼꼼히 확인해야겠네요. 네. 맞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준비물이 있는데요. 먼저 조사에 필요한 조사기록장과 연필, 면적 조사를 위한 50cm 이상의 줄자, 초장 조사를 위한 1m 이상의 대자를 준비하고요. 조사지점 표시를 위한 폴대와 라벨그리고 생육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사진기도 함께 준비합니다. 자~ 연구사님 그럼 이 준비물로 어떻게 조사하면 될까요? 첫 번째로 초장과 경장 조사인데요. 초장은 지면에서 가장 높이 있는 잎의 끝까지의 길이를 측정하고, 경장은 지면에서 줄기의 끝까지 측정합니다. 이때 각각 10개체를 조사해 평균값을 활용합니다. 두 번째, 잎 수는 한 개체에 달린 모든 잎의 개수를 조사하는데요. 10개체의 잎 수를 세어 평균값을 활용하고요. 세 번째 개체 수 조사는 1㎡ 면적의 개체 수를 조사해 3개 조사지점의 평균값을 활용합니다. 네 번째, 가지 수는 분지 중 2개 이상의 절수를 가지는 가지를 말하는데요. 가지 수 역시 10개체의 가지 수를 조사해 평균값을 활용합니다. 다섯 번째, 개화기는 조사하는 밭에서 40~50% 정도의 개체에서 꽃이 폈을 때를 조사하고요. 여섯 번째, 꼬투리 수는 1개체에 달린 꼬투리 수를 조사하는데, 10개체의 꼬투리 수를 센 다음 평균값을 활용합니다. 마지막으로 알 수는 20개의 꼬투리에 들어 있는 알 수를 측정하는데요. 3개 조사지점의 평균값을 활용합니다. 6편. 병해충 조사 와~ 시기별로 세심하게 조사해야 할 것 같은데요. 이때 병해충 발생 여부도 함께 조사해야 하는 거죠? 맞습니다. 콩의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병, 검은뿌리썩음병, 탄저병, 세균병, 점무늬병, 노균병 5종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콩꼬투리혹파리와 같은 해충 2종의 발생 상황을 생육상황조사와 병행해 총 7회에 걸쳐 모니터링하고 있고요. 발생 정보 역시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에 입력 후, 분석하여 현장기술지원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7편. 조사 시 주의사항 와~ 정말 든든한데요. 연구사님 조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뭐가 있을까요? 콩 생육 상황 조사의 경우 조사 샘플 수가 적기 때문에 정밀 조사가 필요한데요. 먼저, 생육 조사 전에 콩 포장 전체를 달관 조사해 생육 균일도를 파악하셔야 하고요. 조사할 때는 생육이 지나치게 작거나 큰 개체는 반드시 제외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사 후에는 조사된 성적이 포장의 대푯값이 되는지 반드시 재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네! 오늘 설명을 듣고 나니까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농사를 위한 기술지도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콩 생육 상황 조사의 중요성이 더 잘 이해되는데요. 콩 재배에 있어 좋은 길라잡이가 되는 콩 생육 상황 조사! 앞으로도 정확하고 체계적인 조사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