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농업
  • 학교교육형
원예관련 직업체험 - 농업연구사

중학생 대상 학교 원예활동 등 농업관련 직업 소개 동영상 간접체험으로 학생들의 농업관련 직업인식을 심어준다.(농업연구사 편)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6 년
  • 2,718
시나리오

제 목 : 농업연구사


오프닝

 안녕 친구들, 곰돌이 선생님이야. 오늘은 농업 연구사에 대해서 알아볼 거야. 농업 연구사란 우리나라 농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필요한 신기술, 신품종 등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직업이야.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농업 기술도 그에 맞게 변화해야겠지? 중국-미국 등 세계 다른 나라의 농업과의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하기 때문이지. 어때, 농업 연구사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한 것 같지?

[연구 주제 판단 능력]

 농업 연구사는 앞으로 우리나라 농업이 발전하기 위한 큰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연구 주제를 판단할 수 있어야해. 세계적인 트렌드에 따라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고, 농업인들의 민원을 받아 연구주제가 형성될 수도 있지. 지금도 새로운 연구주제를 선정하기 위해서 회의를 하고 있어.

[가설 검증 능력]

 연구 주제가 선정되면 그 연구에 맞는 가설을 이론으로 만들어야 하지.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지? 가설이란 아직 확실하진 않지만 그럴 것이라고 예상을 하는 거야. 반복된 연구를 통해서 그 예상이 실제로 맞는지 틀린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지. 이를 위해선 실험기구를 정밀하게 다루고 반복적인 실습을 잘 할 수 있어야겠지?

[발표 능력]

 연구가 끝나면 그 결과를 여러 사람들에게 알려줘야 해. 이때, 복잡하고 어려운 연구 내용을, 쉽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사람들이 열심히 연구한 결과를 잘 이해할 수 있겠지?

[언어 능력]

 연구결과를 세계의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이 필요해. 나의 연구결과를 외국에서 발표해야 할 수도 있고,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이나 서적을 읽을 수 있어야 하지. 세계에는 다양한 언어가 있지만 아무래도 세게 공용어인 영어가 가장 중요하겠지?

[농업연구사로서 보람을 느낄 때]

<인터뷰 -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양은영>

 “농업연구사란 직업을 가지면서 보람을 느꼈을 때는 굉장히 많지만, 아.. 농민분이 어려운 일을 저희에게 상담을 하고, 제가 그것을 해결 해 드릴 때, 바로 농민분이 문제를 해결하고 거기에 대해 고마움을 표시해 주셨을 때, 아주 아무 것도 아닌 간단한 일이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에게는 굉장히 큰 도움으로 다가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서 실제 농가분들이 문제가 해결됐다고 전화를 해 주실 때 그 때 보람을 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