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농협 ‘쌀값 안정책’ 마련 분주

  • 등록일 2024-07-31
[사진]정부·농협 ‘쌀값 안정책’ 마련 분주



수확기를 앞두고 산지 쌀값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정부와 농협이 6월 쌀값 안정을 위해 내놓은 추가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분주한 분위기다.
농협은 ‘범국민 쌀 소비촉진 운동’으로 소진할 지역농협의 2023년산 재고 물량 배정 작업에 착수했다. 정부는 쌀값 추이에 따라 향후 또 다른 격리 효과를 낼 수 있는 추가 방안을 강구한다는 입장이다.
농협은 최근 1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연말까지 범국민 쌀 소비촉진 운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6월21일 민당정 협의회에서 추가로 발표한 쌀값 안정대책 후속 조치의 일환이다. 당시 정부는 2023년산 민간 재고 물량 가운데 5만t을 정부가 매입하고, 농협이 쌀값 안정 자구책으로 재고 10만t을 해소해 총 15만t 규모의 격리 효과를 거두겠다는 안을 내놨다.
농협은 크게 두가지 축으로 지역농협이 보유한 쌀 재고 10만t을 소진한다는 구상이다. 먼저 신규 수요 창출로 5만t을 해소한다. 그중 2만5000t은 가공용으로 활용해 쌀 가공식품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역농협에 밥쌀용과 가공용 판매가의 차액을 마케팅비용 등으로 보전한다. 또 ▲범국민 아침밥 먹기 운동(1만5000t) ▲물류비 지원 등을 통한 쌀 수출·판매 확대(1만t)도 전사적으로 추진해 재고를 소진할 계획이다.
농협경제지주 관계자는 “다음주부터 가공용 등 쌀 소비촉진 운동에 활용할 격리 물량을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과 벼 건조저장시설(DSC)을 대상으로 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농협은 또 다른 방안으로 쌀 소비촉진 홍보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탄수화물을 비만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등 쌀·쌀밥과 관련한 오해를 해소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로 쌀의 영양학적 가치와 아침밥의 중요성 등을 연중 홍보할 계획이다. 이같은 홍보가 쌀 판매로 이어지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동시에 농협 재고분 5만t이 소진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8년 61.0㎏에서 지난해 56.4㎏까지 떨어졌다.
정부는 6월 발표한 5만t 매입 물량에 대한 배정을 마치고 이달까지 매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같은 대책 추진에도 쌀값이 잡히지 않을 경우엔 추가 물량 격리 등 쌀값을 안정시킬 여러가지 카드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농협의 10만t 재고분 소진 대책까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2023년산에 대해 해외원조 등 포함) 총 25만t의 격리 효과가 발생해 쌀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지속적으로 쌀값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해 향후 추가 대책 추진 여부와 방식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확기를 코앞에 두고 산지 쌀값이 17만원대로 내려앉으면서 쌀농가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25일 전국 평균 산지 쌀값은 80㎏들이 한가마당 17만9516원으로 전 순기(18만1148원)보다 0.9% 하락했다. 지난해 수확기(10∼12월) 평균 가격(20만2797원) 대비 2만3281원(11.5%) 떨어졌다.
이에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는 7월30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수확기 쌀값과 벼 매입가 대란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대책을 즉각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하지혜 기자 hybrid@nongmin.com

<출처  :  농민신문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