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분야 新트렌드, 냉동 - 신선도유지를 위한 인류지혜의 결정체 -
요약
1. 신선한 식품을 위한 노력의 역사
예부터 사람들은 어떻게 식량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건조, 염장, 냉장, 냉동 등 저장기술이나 발효, 훈제 등의 가공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약 4천 여년전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얼음을 이용한 냉장방법이 처음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도 얼음을 이용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라 유리왕때에 이미 얼음창고를 지었으며, 지증왕때는 얼음을 전담하는 부서(빙고전)가 있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또한 고려때의 장빙(藏氷)과 개빙(開氷)에 맞추어 행하던 사한제(司寒祭)의 풍속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인공으로 얼음을 얼릴 수 있는 방법은 18세기,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계가 발명된 것은 19세기로 농식품의 혁명기라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가정마다 냉장고가 보급되면서 보관은 곧 냉장이라는 인식이 생길 정도가 되었다. 향후 은퇴세대와 1~2인세대의 증가에 따르는 간편편의식, 소포장식품, 냉동채소 및 과일의 등장은 ‘보관은 곧 냉동’이라는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 낼 것이다.
2. 농식품에 부는 냉동트렌드
냉동기술은 냉장만큼이나 인류지혜의 오랜 소산이나, 냉장에 밀려 크게 관심을 못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식품의 냉동보존법은 이미 19세말에 알려졌으며, 냉동소고기, 냉동과일(1905), 냉동생선(1929)이 판매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장고가 보급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녹으면 맛과 질감이 크게 떨어지는 고질적인 문제로 인기가 좋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농수산물을 순간적으로 얼릴 수 있게 되어 과거와 달리 맛, 향, 영양 등의 차이가 거의 없게 되었으며, 냉동을 통해 장기보존이 가능해 첨가물과 방부제의 사용도 적고, 냉장에 비해 식중독의 위험도 덜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로 요리에 서툰 사람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 예로는 냉동만두, 동그랑땡, 떡갈비, 양념갈비, 치킨너겟, 닭날개 구이, 핫도그뿐만 아니라 유명 패밀리레스토랑이나 재래시장의 맛집요리, 외국의 전통요리 등도 출시 되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1940~50년대부터 식품 냉동이 가져올 잠재적 이익에 대하여 파악하고 투자를 하였다. 그에 따라 ’14년 세계 냉동 식품시장은 약 285조 원(2,417억 달러) 규모이며, 세계인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피자헛, 맥도날드, 버거킹 등에서 장기보존이 가능한 식재료의 공급에 관한 꾸준한 요구뿐만 아니라 ’20년까지 남아공, 브라질 소비자들이 간편 조리식품 등을 통해 조리시간을 덜 들이고자 하는 욕구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우리나라 냉동식품의 ’14년 매출액은 7,120억 원 규모로 ’12년 이후 5.3%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품목은 농산물 등의 식재료보다는 만두, 튀김, 한식반찬, 간편식(면, 볶음밥)등 완제품 중심이다.
3. 시사점
냉동기술은 농수산물의 품질 유지·보존 기간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수확기의 홍수출하에 따른 가격폭락 등을 대비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한식의 세계화 측면에서도 전통 음식을 위한 식재료를 균일한 품질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연구와 관련해서, 냉동기술 관련 기초기술 분야와 기기(器機)의 국산화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냉동 식재료의 원산지 판별 등 저가의 농산물을 걸러내기 위한 원천기술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 약
Ⅰ. 신선한 식품을 위한 노력의 역사 ······· 1
Ⅱ. 농식품에 부는 냉동트렌드 ··················· 8
Ⅲ. 시사점 ····················································· 16
예부터 사람들은 어떻게 식량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건조, 염장, 냉장, 냉동 등 저장기술이나 발효, 훈제 등의 가공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약 4천 여년전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얼음을 이용한 냉장방법이 처음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도 얼음을 이용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라 유리왕때에 이미 얼음창고를 지었으며, 지증왕때는 얼음을 전담하는 부서(빙고전)가 있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에스키모라는 말은 북아메리카 원주민어로 ‘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라는 뜻이며 채소류의 재배가 불가능하므로 피에서 비타민을 얻었기 때문
건 조
염 장
발 효
여러 가지 발효식품
기원전 1세기의 카이사르(시저)도 발 빠른 병사를 시켜 높은 산에서 눈과 얼음을 운반하여 냉장한 음료를 부하들에게 하사하였다고 함
이탈리아어로 돌체비타(La Dolce vita)는 ‘달콤한 인생’이라는 뜻으로 장미, 등의 향료를 탄 물에 꿀, 과즙, 수액 등을 눈, 얼음과 섞어 차갑게 한 음료
로마시대에 ‘Thermopia’라는 가게에서 냉장한 음료를 팔았다는 기록도 있음
아이스크림의 지구사
알렉산더 대왕
네로황제 두상
히포크라테스
벌빙지가란 겨울에 얼음을 저장하였다가 여름에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집안이란 뜻으로 대단히 높은 신분을 의미
세계 최초의 빙과는 어디서 탄생했을까?
종류에 따라 틀리지만 지금의 빙수(氷水)라면 유럽과 중국이 거의 동시라고, 보고 있으며 최초로 우유를 이용한 것은 중국이라고 보고 있음
겨울이 춥지 않은 경우에는 국가에서 기한제(祈寒祭)를 지내어 하늘에 빌었는데 그 이유는 기우제나 기청제와 같이 국태민안(國泰民安)이었음
한강 얼음채취
서빙고圖(강세황)
동빙고터
사한제 재현(안동)
조선시대에는 한강 하류 두모포에 1개의 얼음 창고(동빙고)를 두어 국가제사에 쓰는 얼음 1만 2044정, 별도로 8개의 얼음 창고(서빙고)에는 왕실 음식보존,고관들 배급 목적의 13만 4천여 정을 보존하고 따로 궁내에 내빙고를 둠
냉장기술의 발달로 달라진 세상
19세기 초만 해도 동서양 모두 천연얼음을 저장했다가 쓰는 정도였던 것이 냉장고의 발명 이후, 얼음공장이 생기고 얼음을 맥주나 식료품 저장에 활용
얼음배달트럭(미국)
김치냉장고
와인냉장고
꽃냉장고
산업적으로 최적화 된 것은 농수산물의 산지에 있는 대형냉장창고, 병원의 혈액보관 냉장고, 시체보관냉장고, DNA냉장고 등도 있을 정도
냉동피자
냉동볶음밥
냉동파스타
냉동과일
1912~1917년 뉴펀들랜드 지방에 머물면서 원주민들이 생선과 채소를 신선하게 보존하는 방법을 보고 원리를 연구한 끝에 급속냉동법을 개발
녹이면 질퍽해지는데다가 맛과 질감이 크게 떨어지는 고질적인 문제
냉동소고기
냉동삼겹살
클래런스 버즈아이
버즈아이 제품들
냉동식품,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최근 급속 냉동기술로 원재료의 식감과 영양을 그대로 보존하는 고품질의 제품이 등장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많아지고는 있으나...(’15, 농림축산식품부)
냉동에 걸리는 시간(속까지 어는 시간)이 짧을수록, 얼리는 온도는 낮을수록 품질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면 최적의 온도
신선 옥수수 등은 수확 후 수 시간 이내에 급속냉동처리되므로 오히려 당, 비타민, 미네랄 성분의 파괴가 적은 편
잘못 해동된 고기
냉동 오크라
저온에서도 자라는 식중독균 리스테리아
냉동된 닭다리
반찬류 동그랑땡
다양한 볶음밥
광장시장 명물빈대떡
패밀리레스토랑이나 재래시장의 유명한 맛집 대표요리, 외국의 전통요리 등을 간단히 재현한 상품들이 대거 출시
TTT란 시간을 뜻하는 Time, 온도를 뜻하는 Temperature, 원재료의 질과 영향이 변화하지 않으려고 견디는 정도를 뜻하는 Tolerance의 머리글자
빙온저장 : 식품이 얼지 않는 최저의 온도로 저장하는 방법
냉동 농산물이 더 영양소가 높다고?!
8종의 냉동 및 신선농산물(블루베리, 딸기, 브로콜리, 껍질콩, 옥수수, 시금치, 콜리플라워, 완두콩)을 구매하여 5일간 냉장고에 보관 한 후 영양소를 비교한 결과, 거의 대부분 영양성분 함량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13, 조지아대학)
글로벌 냉동식품 시장의 트렌드?!
편리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하여, 저장기간 동안 영양 성분의 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전문 판매점도 등장
중국의 냉동 호주산 쇠고기에 대한 금수(禁輸)조치가 해제되는 등 환경도 개선
브랜드로는 ‘Schwan’s’, ‘Red Baron’, ‘Freshetta’, ‘Tony’s’, ‘Mrs. Smith’s’,‘Pagoda Express’ 등으로 냉동피자와 냉동디저트 분야의 강자
스완푸드 컴퍼니
네슬레
유니레버
맥케인 푸드
’96년까지 교자만두의 형태이던 것이 이후 교자만두 뿐만 아니라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 등 다양하게 시장이 세분화
우리나라 소비자, 냉동식품 언제 얼마나 자주 먹나?!
주 1∼2회, 평일 저녁에 남성은 혼자 식사를 할 때 그리고 여성은 집에서 간식이나 야식으로 많이 이용(’15, 농림축산식품부)
현재는 저가의 외국산 농산물이 위해한 요소(미생물, 농약, 첨가물 등)를 손쉽게 잡아내는 기술이 부족하여 국민보건 측면에서도 위협이 잠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