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農)영상

  • 병해충ㆍ재해기술지도
벼 병해충 예찰 및 NCPMS 활용법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은 농촌진흥청에서 농작물의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2010년부터 개발해온 시스템으로 병해충 정보는 물론 예측, 예찰, 진단 등 주간 농사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많아 농업인에게 유용한 사이트이다. 이에 벼 병해충 동정 및 NCPMS 입력 방법을 소개하고 벼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농가의 활용방법에 대한 영상을 제작하여 보급한다.

  • 농촌진흥청
  • 2021 년
  • 3,112
시나리오

제목 : 벼 병해충 예찰 및 NCPMS 활용법 1. 벼 병해충 예찰포 운영 정확한 벼 병해충 예찰을 통한 방제정보 제공을 위해 현재 전국 137개 농업기술센터에 벼 병해충 예찰포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데요. 벼 병해충 예찰포는 2,000㎡ 규모로 표준방제구와 무방제구로 구획을 나누고, 예찰 장비를 설치해 병해충 예찰을 하고 있습니다. 이중 무방제구(다비구)는 질소비료를 농가 포장 기준량의 2배 시용하고, 병해충을 방제하지 않으며, 표준방제구(보비구)는 질소비료를 기준량 시용하고, 병해충은 지역의 방제모형에 준하여 방제하는데요. 주의할 점은 논물이 방제구별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재배 품종은 일반계 2품종 이상 재배하되 한 품종은 도열병에 약한 품종, 또 한 품종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을 무방제구와 표준방제구 동일하게 재배합니다. 모내기는 1모작의 경우 관내 인근 농가의 모내기 시작 시기에 모내기를 하고, 70% 이상 2모작 지역은 2모작 모내기 시기에 모내기를 합니다. 조사지점은 무방제구, 표준방제구를 각각 품종별 대각선으로 나누고 긴 논둑을 3등분해 선을 그어 맞닿는 4개 지점에 표시막대를 꽂아 조사 기준주 표시를 합니다. 조사대상 포기는 조사기준 포기를 포함해 표시지점에서 좌우로 2포기씩 5포기를 4개 지점에서 총 20포기에 대해 모든 병해충을 동일하게 조사합니다. 만약 조사 포기가 기상재해, 병해충 피해로 주저 앉거나 죽었을 경우에는 결주로 계산해 총 조사 포기수에서 제외합니다. 그리고 예찰 장비 설치는 도열병포자채집기와 유아등은 무방제구(다비구) 인근에 설치하고, 공중포충망은 주변 논두렁에 설치합니다. 2. 예찰 장비에 의한 병해충 조사 벼 병해충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예찰포에는 도열병 포자채집기, 유아등, 공중포충망, 성페로몬트랩을 설치하고, 도열병 분생포자 비산 상황 및 비래 해충을 포집 분류 분석해 방제 자료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이번엔 예찰 장비에 의한 조사요령을 알아봅니다. 가. 도열병 포자채집기 도열병 분생포자 채집조사는 6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 매일 조사하는데요. 조사방법은 매일 2개의 채집봉 한쪽 면에 면봉으로 실리콘그리스를 고루 묻혀 포자 채집기 거치대에 삽입하고 타이머를 오전 1시부터 2시까지로 설정해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회전이 되도록 합니다. 다음 날 도열병 분생포자 채집기에서 채집봉을 분리하여 미세영상장비를 활용 검경하여 2개 채집봉에서 채집된 분생포자 수를 모두 계수한 후 평균치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나. 유아등 조사 유아등 조사는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혹명나방, 애멸구, 벼멸구 등 9종의 해충을 매일 조사하는데요. 애멸구는 7월 20일까지 조사합니다. 조사방법은 해가 지기 전에 유아등의 불이 켜지고 아침이 되면 불이 자동으로 꺼지는 자동점멸 시스템에 의해 밤에 전등불을 켜 놓고 다음 날 유아등 채집망을 수거해 건조 후 조사합니다. 조사내용은 일별 유살수, 최초 유살일, 유살 최성일, 50% 유살일, 종식일, 유살량 등을 조사하여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다. 공중포충망조사 공중포충망조사는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매일 공중포충망에 채집된 해충을 수거해 애멸구,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 등을 조사해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라. 성페로몬트랩 성페로몬트랩은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매년 멸강나방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선정해 설치하는데요. 매일 오전 10시에 유살수를 조사해 기록하고, 유살된 나방은 걷어냅니다. 3. 벼 예찰포 병해 조사요령 벼 예찰포에서는 도열병 등 10종의 병 발생상황을 조사하는데요. 먼저, 벼에 발생하는 병의 조사요령에 대해 알아볼까요. 가. 잎도열병 잎도열병은 병무늬 면적률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매순별(10, 20, 30일)로 조사합니다. 조사방법은 병에 걸린 포기당 병반면적률 합계치를 조사 포기수로 나누어 산출하는데요.(병무늬면적률=병걸린 포기당 병반면적률 합계치/조사 포기수×100), 병에 걸린 정도는 농작물 병해충 예찰 및 방제 요강에 제시된 포기당 병무늬 면적률로 알 수 있습니다 나. 이삭도열병 이삭도열병은 조생종 8월 30일, 중생종 9월 10일, 중만생종은 9월 20일에 각 1회 병든 이삭률을 조사합니다. 병든 이삭률은 이삭의 목, 가지, 마디에 병 걸린 이삭수를 합해 총조사 이삭수로 나눠 산출(병든 이삭률=병걸린 이삭수(목+가지+마디)/총 조사 이삭수×100)하고 조사 당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다. 벼흰잎마름병 벼흰잎마름병은 7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매순별로 이삭패기 전에는 포기당 평균 병무늬면적률을 다음 표를 참고해 조사합니다. 이삭이 팬 후에는 각 포기에서 가장 긴 줄기 1개를 골라 위에서부터 끝잎, 둘째 잎, 세 번째 잎에 대한 잎당 병무늬면적률을 조사해 포기당(줄기당) 평균치를 이 표를 참고해 구합니다. 라. 잎집무늬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은 병든줄기율, 병무늬수직진전도, 피해도를 조사하는데요. 병든줄기율은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매순별로 병든줄기수를 총 조사 줄기수(병든줄기율=병든줄기수/총 조사 줄기수×100)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병무늬수직진전도 조사는 7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매순별로 포기당 병무늬 최고 높이 합계치를 포기당 초장 합계치로 나누어(병무늬수직진전도=포기당 병무늬 최고높이 합계치/조사 포기당 초장 합계치×100) 산출합니다. 그리고 피해도 조사는 조생종 8월 20일, 중생종 8월 30일, 중만생종은 9월 10일에 20포기에 대한 끝 잎으로부터 셋째 잎 잎집까지 부위별 발생 정도를 조사하여 피해도(예찰요강 p26 참조)를 산출합니다. 마. 세균벼알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은 조생종 8월 20일, 중생종 8월 30일, 중만생종은 9월 10일에 병걸린 이삭수를 총조사 이삭수로 나누어 병든이삭률(병든이삭률=병걸린 이삭수/총조사 이삭수×100)을 산출니다. 바. 이삭누룩병 이삭누룩병은 조생종 8월 30일, 중생종 9월 10일, 중만생종 9월 20일에 병걸린 이삭수를 총조사 이삭수로 나누어 병든이삭률(병걸린 이삭수/총 조사 이삭수×100)을 산출하여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사. 줄무늬잎마름병, 검은줄오갈병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은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매순별로 병든줄기수를 총조사 줄기수로 나누어 병든 줄기율(병든줄기률=병든줄기수/총조사 줄기수×100)를 산출합니다. 아. 깨씨무늬병 깨씨무늬병은 조생종 8월 30일, 중생종 9월 10일, 중만생종 9월 20일에 병걸린 포기당 병반면적률 합계치를 조사 포기수로 나누어 포기당 병반 면적률(포기당 병반면적률=병걸린 포기당 병반면적 합계치/조사 포기수×100)을 산출합니다. 병 발생 정도는 농작물 병해충 예찰 및 방제 요강에 제시된 병반 면적률로 알 수 있습니다. 4. 벼 예찰포 해충 조사요령 조사 대상인 벼 주요 해충은 벼잎벌레와 벼잎굴파리 등 총 12종인데요. 이번엔 벼 해충 밀도와 피해율 조사요령에 대해 알아볼까요? 가. 벼애잎굴파리, 벼잎벌레 벼애잎굴파리와 벼잎벌레는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순별로 피해잎률을 조사하는데요. 피해잎률은 피해잎수를 총조사 줄기수에 줄기당 조사잎수를 곱한 수치로 나누어 산출〔피해잎률=피해잎수/(총 조사 줄기수×줄기당 조사잎수)×100〕합니다. 나. 벼줄기굴파리 벼줄기굴파리는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매순별로 피해줄기율을 조사하는데요. 피해줄기율은 피해줄기수를 총조사 줄기수로 나누어 산출(피해줄기율=피해줄기수/총조사 줄기수×100)합니다. 다. 애멸구, 끝동매미충 애멸구와 끝동매미충은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매순별로 각 포기당 애멸구, 끝동매미충 어른벌레와 어린벌레의 마리 수를 조사해 20포기에 대한 총 마리수를 구합니다. 라. 벼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흰등멸구 포장밀도 조사는 7월 10일부터 9월 20일까지 매순별로 각 포기당 벼멸구, 흰등멸구의 어른벌레 및 어린벌레 마리수를 조사하여 20포기에 대한 총 마리수를 산출합니다. 본논 발생 정도별 기준은 초기에는 1~5마리 소, 6~10마리 중, 11~20마리 다, 21마리 이상 심으로 구분하고, 후기(8월 중순 이후)에는 1~50마리 소, 51~150마리 중, 151~300마리 다, 301마리 이상 심으로 구분합니다. 마. 벼물바구미 벼물바구미 성충 밀도는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매순별로 조사하는데요. 가급적 해질 무렵(17시~20시) 잎과 잎집에 서식하고 있는 벼물바구미 성충의 마리 수를 조사 합니다. 발생 정도별 기준은 20포기당 20마리 이하 소, 21~40마리 중, 41~60마리 다, 61마리 이상 심으로 구분합니다. 바. 혹명나방 혹명나방은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매순별로 조사해 20포기에 대한 상위 3잎의 피해잎률을 조사하는데요. 피해잎률은 피해잎수를 총조사 줄기수에 상위 3잎을 곱한 수치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피해잎률=피해잎수/(총조사 줄기수×상위3잎)×100〕 사. 멸강나방 멸강나방 피해잎률은 6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매순별로 조사해 피해잎수를 20포기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아. 먹노린재 먹노린재 포장밀도 조사는 6월 30일부터 8월 30일까지 먹노린재 어린벌레와 어른벌레의 마리 수를 조사해 20포기에 대한 총 마리수를 구하는데요. 발생 정도는 발생 정도별 기준은 20포기당 4마리 이하 소, 5~8마리 중, 9~20마리 다, 21마리 이상 심으로 구분합니다. 자. 이화명나방 이화명나방 피해줄기율 조사는 화기별로 나눠 총 3회 조사하는데요. 1화기는 발아최성일 후 30일(7월10일)과 45일(7월20일)에 2화기는 발아최성일후 25일(9월10일)에 피해줄기수를 총조사 줄기수로 나누어 피해줄기율(피해줄기율=피해줄기수/총조사 줄기수×100)을 산출합니다. 단, 잎짚피해줄기는 제외하고 줄기 피해와 이삭피해만 조사합니다. 5. 벼멸구 흰등멸구 감별 방법 멸구류는 생김새가 비슷해 구분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분할 때 몇 가지 유심히 관찰해야 하는데요. 먼저 벼멸구는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날개는 반투명 갈색이고 광택이 납니다. 머리와 등쪽에 양측선과 중앙 융기선은 불명료하며 안면 양측선 융기는 흑갈색, 중앙선은 갈색을 띱니다. 소순판의 갈색종선도 불명료하며 소순판 전체가 갈색을 띱니다. 벼멸구만 뒷다리 제1부절에 보통 4개의 자상 돌기가 있고, 경절 끝의 가동거가 있습니다. 수컷은 파악기, 암컷은 산란 제1외변 모양으로 구분합니다. 현장에서 벼멸구류의 약충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벼멸구 약충만 눈 밑, 안테나 아랫부분에 흰색의 왁스층이 존재해 양 눈 밑이 밝게 보이며 작은 약충은 더욱 잘 보입니다. 알코올에 넣은 후 시간이 지나면 잘 안 보이는데 자세히 보면 왁스층이 희게 보입니다. 다음은 애멸구입니다. 애멸구의 암컷은 담황색, 수컷은 흑갈색을 띠는데요. 날개는 반투명 회색을 띠고 머리·등 쪽의 양측선과 융기선이 완만한 형태입니다. 안면 3줄의 융기선은 유백색이 명료하며 종선 사이의 종구는 암수 모두 흑색을 띱니다. 소순판은 수컷이 흑색이고 흰무늬가 있으며, 암컷은 황색 반문을 띠고 흰무늬가 불선명합니다. 또 소순판의 바깥 부분은 흑갈색으로 경계가 불명료합니다. 흰등멸구는 담황색에서 흑색을 띠는데요. 날개는 반투명 회색, 날개 선단부는 검은색을 띠고 있습니다. 머리·등 쪽의 두정 돌출은 현저한 상태이며 양측선과 중앙 융기선이 선명합니다. 안면의 선단부가 폭이 가장 크고 안면 3줄의 융기선은 유백색이 명료하며 종선 사이의 종구는 암수 모두 흑색을 띠고 있습니다. 소순판은 암수 모두 황백색의 긴 육각형을 갖고 있으며 소순판의 바깥 부분은 흑갈색으로 경계가 뚜렷합니다. 6. 벼 관찰포 운영요령 관찰포는 벼 생육 조사 포장에서 병해충 발생상황을 조사해 전국 발생상황 추정자료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전국 139개 시군농업기술센터에 690개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관찰포 지정 기준은 시·군별 벼 식부면적에 따라 6,000ha 미만 3개소, 6,001~12,000ha 6개소, 12,001ha 이상은 9개소를 설치하는데요. 산간지, 중간지, 평야지 등 지대별 면적에 따라 분산해 지정하되 조사필지는 최소 1,000㎡ 이상 되는 필지를 선정합니다. 병해충 조사지점은 조사필지를 긴 논둑 방향으로 3등분한 선과 대각선을 그어 교차되는 2개 지점에 표시막대를 꽂아 조사기준주 표시를 합니다. 조사대상 포기는 조사기준 포기를 포함하여 좌우 10포기를 연중 조사합니다. 조사시기는 6월부터 9월까지 매월 1일과 16일에 조사대상 병해충 22종(병 10, 해충 12)에 대하여 조사하고, 결과는 당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입력합니다. 병해충 발생이 극소일 경우 발생면적을 그 비율에 맞게 조정 입력하고, 기타사항은 농작물병해충예찰요강 및 생육상황조사 요령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벼 주요 병해충 NCPMS입력 방법 예찰포와 관찰포에서 꼼꼼하게 기록한 내용들은 조사 직후 바로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에 입력해야 하는데요. 이번에는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가. 지점 및 작물 확인하기 먼저 NCPMS에 로그인 한 다음 병해충 예찰 목록에서 조사지점관리 메뉴로 이동해 화면 하단 신규지점등록 버튼을 누르고 예찰구분을 벼 예찰포로 지정한 다음 작물, 조사구분 및 부가정보를 입력 후 저장합니다. 지점등록 후에는 병해충예찰 등록/수정 메뉴로 이동해 지점명 옆에 체크 아이콘을 클릭해 지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점명 우측에는 해당 지점의 입력현황이 표시되는데요. 이를 통해 얼마나 입력했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 입력하기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하단에 입력 화면이 열리는데요. 입력 화면의 타이틀에는 지점명이 표시되고, 지점 공통항목으로 방제구별 품종과 숙기를 선택합니다. 이 지점 공통항목은 모든 회차가 공유하는 항목이며, 우측에는 입력항목 바로가기가 있는데요. 이 부분에서 입력할 병해충을 찾아 클릭하면 아래 자료 입력 화면이 선택한 병해충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또, 필터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요. 여기서 원하는 병해충을 검색해 이동도 가능합니다. 다음 화면 하단 좌측에는 회차 목록이 있는데요. 벼 예찰포는 전체 13회차가 5월 20일부터 순별(10)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지점 목록에서 입력 버튼을 누르면 입력해야 할 회차가 자동 선택되고, 다른 회차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경우에는 회차 목록의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 입력 화면에 선택한 회차의 정보가 표시됩니다. 벼 예찰포의 경우 입력창에 무방제구 A, B 품종, 표준 방제구 A, B 품종 총 4개의 품종을 하나의 회차에 입력할 수 있게 구성돼 있는데요. 조사한 자료를 입력 항목에 마우스를 클릭한 후 입력하거나, 마우스를 더블 클릭한 후 입력하면 됩니다. 입력 화면을 이동하다 보면 진한 회색으로 표시된 항목들이 있는데요. 이렇게 표시된 부분은 입력 불가항목입니다. 또, 입력 중에 화면 헤더의 느낌표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리면 입력 항목의 조사시기에 대한 도움말이 있어 참고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항목에 입력이 끝나면 키보드 엔터키를 치거나 입력 항목 이외의 곳을 더블클릭하면 입력이 완료되는데요. 입력하지 않은 항목을 모두 0값으로 입력하고자 할 때는 하단에 ‘전체 0값 셋팅’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조사 일자를 입력하는 창이 열리는데요. 회차에 맞춰 조사일자를 클릭하면 화면이 한 번 갱신되고, 다음 입력 회차가 표시됩니다. 저장이 잘 됐는지는 좌측 상태 목록의 ‘입력완료’ 변경 여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 부가 기능 입력 프로그램에는 몇 가지 부가 기능이 있어 활용할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일부 또는 전체 복사와 붙여넣기 기능입니다. 이전 회차와 동일하게 입력하거나 유사한 상황이라면 복사할 항목에 마우스를 클릭한 후 Shift키와 방향키로 입력할 항목을 지정한 다음 Crtl+c를 눌러 복사한 후 붙여넣을 위치에 마우스를 클릭한 후 Crtl+v를 눌러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엑셀템플릿 이용 기능인데요. 입력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팝업메뉴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엑셀템플릿을 클릭하면 조사별 엑셀템플릿을 다운 받을 수 있는데요. 파일을 열어보면 입력창과 동일한 엑셀시트가 제공돼 엑셀로 자료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바로 복사 붙여넣기를 이용해 간편하게 자료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는 도움말 기능인데요.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해 팝업메뉴를 보면 도움말 메뉴에 병해충 예찰 진행방법과 자료 입력에 대한 설명이 있어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라. 관찰포, 모바일 입력 방법 그리고, 벼 주요 병해충 관찰포 입력 방법은 예찰포 입력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데요. 다음 두 가지는 꼭 확인해야 합니다. 첫 번째는 조사 구분에서 반드시 벼 관찰포 지점을 클릭하고, 두 번째는 병해충 입력에 있어 발생 정도를 소, 중, 다, 심 면적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이외의 입력 방법은 동일합니다. 또한 조사한 내용들은 이렇게 모바일을 통해서도 쉽게 입력할 수 있는데요. 입력 방법은 앞서 설명한 예찰포, 관찰포 입력 방법과 같습니다. 벼 병해충 예찰포 및 관찰포 조사를 통해 병해충 발생상황을 농업인들에게 제공해 병해충 적기방제에 큰 도움을 주는 NCPMS! 스마트한 농작물 병해충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는 NCPMS 담당자여러분의 꼼꼼한 조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되는데요. 전국의 NCPMS 담당자 여러분! 부디 신속한 예찰과 정확한 입력으로 대한민국의 벼 농사를 병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