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포도제초제 약해로 인해 포도에 이상증상이 발생했어요

  • 기술지원일 2017-06-13
  • 작성자 이종남
  • 조회수 1,141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7. 6. 13.
  • 장 소 : 경기도 안성시 도기동 248
  • 출 장 자 : 김쌍수 지도관, 이영철 · 곽한강 · 최용문 기술위원
    • - 현지 협조자 : 안성시농업기술센터 소득기술과장 임효빈 외 2명

영농현황

  • 농 가 명 : 경기도 안성시 계길동 34, 이 ○ ○
  • 작 물 명 : 포도 무가온 하우스 재배
  • 재배품종 : “거봉”, “블랙 함부르그” 5∼6년생, 접목묘
  • 재식거리 : 3.5m × 3.6m
  • 재배면적 : 3,960㎡(약1,200평)

농가민원 내용

  • 민원인은 갱신한 6년생의 포도나무 중 몇 주가 3년 전에 잎이 기형이 되어 고사하는 증상이 보였고, 다음해에 보식한 나무도 같은 증상이 발생하였으며, 옆의 나무로 확산되는 현상을 보여 정확한 원인을 알고자 함.

현장조사 결과

  • 민원인의 포장은 본래 논이었던 곳을 산 흙으로 객토하여 15년 전에 포도원을 조성하였고, 그 후 연동하우스시설을 설치하였으며, 6년 전에 “거봉” 품종으로 갱신하였고, 일부 “마스캇 함부르그”를 보식하였음.
  • “거봉”은 무핵재배를 위해 과방다듬기를 실시하고, 약제는 개화기에 1차 GA 12.5ppm와 개화 10일 후 2차 GA 20ppm을 침지하여 처리함.
  • 전체 포도나무 310주 중에서 이상증상을 나타낸 나무는 출입구 쪽의 9주이고 그 중 2주는 고사하여 결주된 상태이고, 3년 전에 보식한 나무 6주도 이상증상을 보였음.
  • 포도나무 신초 잎의 이상증상이 심한 나무는 선단부위 생장이 멈추고 마디 길이가 짧으며, 상부 잎은 엽맥이 펴지지 않는 기형이 되고, 하부 잎은 컵 모양으로 오그라들고 과방도 기형이거나 고사된 상태였음.
  • 이상증상이 심하지 않은 나무는 가장 자리 3그루 정도로 상부 잎만 엽맥이 펴지지 않은 기형이고, 하부 잎과 과방은 정상에 가까웠음.
  • 현장 토양조사 결과 토성은 미사질 양토로 유효토심은 60cm 이상이고 토양수분 함량은 14.8%, 토양산도(pH)는 6.5, 토양전기전도도(EC)는 0.7dS/m로 토양관리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음.
  • 현장 병해충 조사결과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등 병 발생은 없었고, 총채벌레와 사과응애는 다수 관찰되었으나 차먼지응애는 볼 수 없었음.
  • 병해충 또는 제초제에 의한 이상증상 발생여부를 전문가의 정확한 자문을 받하기 위하여 다수의 시료 채취함.

종합 검토의견

  • 포도나무의 잎 이상증상이 3∼4년 전부터 발생되었고, 보식 한 나무 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과 계속 옆의 나무로 확산되었으며,
  • 이상증상의 신초를 국립농업과학원의 해충 전문가에게 의뢰한 결과 병해충에 의한 피해는 아니고,
  • 제초제 전문가에게 의뢰한 결과 제초제 “디캄바(반벨)”의 피해증상으로 확인하였음. “디캄바(반벨)”은 토양 내에서 장기간 잔존하고 토양 내 이동도 용이한 침투이행성 제초제로 수체 내에 소량만으로도 피해를 일으킬 수 있음.

금후 기술지도 방향(농가 실천사항)

  • 신초의 잎에 이상증상이 발생한 포도나무들은 회복이 불가능함으로 최대한 빨리 굴취하여 폐기 할 것.
  • 앞으로도 토양 내에 잔존한 제초제 성분이 확산되어 피해지역이 넓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피해나무 9그루 면적 보다 약간 더 넓게 50cm 깊이로 토양을 파내고 환토 할 것을 권장함.
  • 파낸 흙(잔토)도 농경지를 다시 오염시키지 않도록 잘 처리 할 것.
  • 총채벌레와 사과응애의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있음으로 방제를 철저히 실시 할 것.

관련 사진

포도 이상 잎이 발생한 하우스 내 전경 정상 옆(상)와 이상 옆(하)
포도 이상 잎이 발생한 하우스 내 전경

정상 옆(상)와 이상 옆(하)

이상 포도나무의 고사과방(좌)과 기형과방(우) 피해가 미약한 “마스캇 함부르그” 신초선단
이상 포도나무의 고사과방(좌)과 기형과방(우)

피해가 미약한 “마스캇 함부르그” 신초선단

현장 병해충의 발생 확인 조사 이상현상 발생원인 및 관리 방법 지도
현장 병해충의 발생 확인 조사

이상현상 발생원인 및 관리 방법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