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으로 고추 농사를 하려고 하는데 토질개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알고 싶어서 문의 드리오니 잘 설명 부탁드립니다.
시설하우스
현황 |
면적 |
2,000㎡(600평) |
완공 |
2015년 1월 10일 |
토양 |
십 년간 벼농사를 지었던 곳으로 3년 전부터 밭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나 경반층이 있어서 작년 말에 흙을 갈아엎고(객토는 하지 않음) 비닐하우스를 설치함. 토질이 찰흙 성분이 많아 물 빠짐이 나쁨 |
재배예정작물 |
고추 육묘를 구입하여 4월 15일 정식 예정 |
위와 같은 조건으로 유기농으로 재배한 볏짚을 넣고자 합니다. 흙을 갈아엎어서 위치마다 토양성분이 매우 다를 것 같아 시험시료를 취하기 어려워 현재 토양분석은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유기농업을 하기 위해 볏짚, 패화석비료, 가리장석, EM 발효액을 넣고 토질을 개선시키리라고 하는데
1. 요사이 대부분 영하 날씨인데, 지금 볏짚을 넣어서 완숙가능하여 4월 중순 정식해도 문제가 없는지요?
2. 볏짚은 완숙되지 않아도 해로운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서 문제없다고 하는데 사실인지요?
3. 볏짚과 다른 비료, EM 발효액의 혼합량(10a 기준)에 대한 추천과 방법
4. 혹은 추천하는 다른 토양개량방법이 있으면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가질의]
이전에 볏짚으로 공극을 높이는 방법에 대하여 질문했었고, 볏짚을 넣으려다 2가지 궁금한 점과 볏짚의 문제로 재차 질문을 드립니다.
1. 볏짚
1-1. 볏짚이 논바닥에 베어 누어있는 상태로 땅바닥과 닿은 부분은 얼어서 떨어지지 않습니다. 친환경으로 고추 농사를 하므로 친환경으로 재배한 볏짚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을 사용하려다보니 돈도 지불하여 이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볏짚을 썰어야 하는데 농기계도 없고, 자르지 않고 넣어도 부숙이 되고 문제는 없나요?
1-2. 볏짚은 해로운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서 작물에 해롭지 않다고 하셨는데, 호두를 심은 사람이 탄저병에 걸린 줄 알고 전문가분이 오셔서 문의했더니 탄저병이 아니라 부숙되지 않은 가스의 영향일 것이라고 했다고 하여, 땅을 파보니 실제로 몇 년 전에 넣은 볏짚이 있었으며, 이것에 의한 가스 영향이라고 하는데 정말 볏짚이 고추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요.
2. 왕겨
제 토양은 과거에 논농사를 했던 곳으로 경반층이 있어서 포크레인으로 땅 뒤집기를 했지만 찰흙이라서 얼마 전에 완성한 하우스 내부가 아직도 눈이 얼고 녹는 땅으로 질퍽합니다. 토양 개량이 필수적이지요.
토양 시료를 채취하려고 해도, 땅을 뒤집어 놓아서 위치마다 너무나 다르므로 미루고 있다가 그래도 해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어 시료 채취하였고, 아직 분석을 맡기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현재는 토양 개량(기공층 형성)과 관련하여 왕겨가 좋다고 하므로 이것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2-1. 찰흙이 많으므로 사람들이 왕겨를 넣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같이 찰흙의 땅은 볏짚보다 왕겨가 더 좋을까요.
2-2. 왕겨는 친환경을 농사지은 벼의 왕겨를 넣어야 하나요. 농약 사용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농약 사용한 것이 왕겨로 일반적으로 얼마나 축적되는가요.
2-3. 찰흙의 땅에 왕겨와 다른 첨가물을 포함하여 어떤 비율로 얼마나 많은 양을 넣어야 하나요. 무게로 알려주실 경우, 일반적인 왕겨를 포장했을 경우의 밀도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4 왕겨는 부숙이 잘 되지 않는다고 하여 하우스마다 50㎝ 깊이로 파서 100㎜ 유공관을 깔고 왕겨만 넣어서 흙으로 덮으려고 합니다. 결국 왕겨는 언젠가는 섞을 것이지만 공극율이 증가하면 유공관이 막혀도 유로가 형성되면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유공관+왕겨 묻는 데 대한 방법도 추천 바랍니다. 예) 땅 파는 깊이와 폭, 왕겨 넣는 깊이(양)
2-5 왕겨가 이같이 잘 썩지 않는다면 토양에 섞어 넣는 경우와 조금 다르지만, 잘 썩지 않는 왕겨를 토양에 넣어 공극률을 증가시킨다고 하여도 고추에 대한 피해는 없는지요.
2-6. 팽윤겨를 사용하라고도 하는데, 이것의 장단점과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7. 왕겨를 태워서 넣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태우므로 친환경으로 재배하지 않은 것이라도 상관없을 것 같은데, 그럴까요. 일반왕겨가 좋은가 태운 왕겨가 좋은가, 태운 왕겨가 좋다면 그 비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년 귀농하고, 올해 처음으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친환경으로 고추 농사를 시도하려다보니 어려운 점이 많네요. 많은 수고 부탁드립니다.
1. 볏짚은 5∼10㎝ 정도로 잘라서 정식 4주 전까지만 시용하여도 됩니다. 따라서 지금 볏짚을 넣고 4월 중순 정식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2. 볏짚은 C/N율(탄수화물/질소 비율)이 70 정도로 분해가 매우 서서히 되기 때문에 일반 밭이나 시설재배지에서는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땅이 습하여 토양이 환원상태가 되면 유해한 가스(H2S, 유기산 등)가 발생됩니다.
3. 볏짚을 토양에 넣을 경우 볏짚의 분해를 위해 특별한 비료나 미생물 발효액 등을 사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토양개량방법은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1∼3번 질의 내용과 같이 구체적으로 문의해 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답변]
1. 볏짚
1-1. 자르지 않고 볏짚을 넣으셔도 되나, 경운이나 로타리 작업이 어렵습니다.
1-2. 볏짚은 좋은 퇴비입니다. 효과는 지난번 답변 드린 바와 같습니다.
※ 참고로 농사를 잘 짓는 분들의 볏짚사용 장면을 메일로 보내드립니다.
2. 왕겨
2-1. 찰흙이 많으면 토양관리가 매우 어렵습니다. 공극량을 늘려 주기위해 사용되는 볏짚과 왕겨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C/N율(탄소와 질소 비율) : 볏짚과 왕겨의 C/N율은 70정도 됩니다.
- 토양에 시용한 볏짚은 2달 정도 지나야 양분이 방출됩니다. 따라서 볏짚은 적어도 정식 1개월 전에 사용해야 됩니다.
- 볏짚과 왕겨의 차이점은 볏짚은 주로 분해되기 쉬운 단백질과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지만 왕겨는 분해가 어려운 리그닌 성분이 많아 분해가 늦습니다.
- 공극량 : 볏짚은 부숙되는 과정에서 미생물(곰팡이, 세균, 방선균)이 증식하면서 이들에 의해 입단이 생기고, 완전히 분해되어 부식화되면 토양의 음전하 수가 늘어 CEC가 증가와 더불어 토양을 입단화시키므로 공극량이 증가됩니다.
- 그러나 왕겨는 분해가 잘되지 않기 때문에 볏짚과 같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공극량을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왕겨가 차지한 부피가 공극량을 높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찰흙땅에서 단시간 내에 인위적으로 공극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왕겨도 효과적입니다.
2-2. 일반적으로 농약은 광분해라든지 생화학적 분해가 되기 때문에 축적량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일반재배 벼의 왕겨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왕겨의 잔류농약에 대한 자료는 찾을 수가 없습니다.
2-3. 벼에서 왕겨의 생산량은 20%(정현비율 즉 정조에서 현미의 무게비율이 78%임)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보통 300평당 쌀이 600kg 생산된다고 하면 왕겨의 무게는 대략 120kg 정도 됩니다.
2-4. 보통 하우스에서 암거 깊이는 40∼50㎝ 정도 합니다. 심경할 경우 30㎝ 정도까지 갈이가 되므로 이 깊이면 적당하다고 봅니다. 1톤 굴삭기 표준 버켓 너비가 350㎜입니다. 따라서 너비 35㎝, 깊이 40∼50㎝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요즘에는 왕겨보다 유공관에 차광막을 둘둘 말아서 많이 사용합니다.
2-5. 왕겨로 인한 고추 피해는 없습니다.
2-6. 팽연왕겨는 쉽게 부셔져 유공관이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굳이 팽연왕겨를 사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2-7. 팽연왕겨는 상토나 배양토로 많이 이용하는 자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