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대전광역시 동구
애호박
애호박의 황화증상이 발생해요
기술지원일
2015-02-03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2,030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5. 02. 03
장 소 : 대전광역시 동구
농가의견
2015년 1월 19일 1차 정식 후 피해 증상이 잎에 나타났으며, 피해 애호박을 제거하고 2차로 1월 27일 재정식 하였으나 다음 날 같은 증상이 나타나 생육이 부진한 원인을 알고 싶음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애호박(품종 : 불암풋호박)
재배면적 : 3,300㎡(15연동형 하우스)
정식시기 : 2015. 01. 19(1차), 2015. 01. 27(2차)
현장조사 결과
연동하우스(3,300㎡)에 2014년 12월 14일에 밑거름으로 한밭퇴비 10,000㎏, 유박비료 800㎏, 복합비료(21-17-17) 400㎏을 시용한 후 12월 24일에 심경 및 로타리를 이용한 경운 실시
정식 후 1월 20일경 환기(1000∼16:00경)를 실시하였는데 이 때 인접한 식품회사의 연기가 하우스 내로 유입되어 잎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마르기 시작하였으며, 그 이후 일부를 재정식(1월 27일) 하였으나 심은 위치에 따라 호박잎 3∼6매 정도가 갈색으로 변한 상태였다고 함
- 환기 시킬 때 식품회사의 연기가 유입되어 안개처럼 될 때가 많았음
1월 30일경부터 식품회사가 공장가동을 중단한 후부터는 애호박 잎의 갈색 증상이 멈춰지면서 새순도 정상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함
현장에서 측면 피복재에 부착된 물방울과 내부 2중 비닐피복의 물방울에서 질소 성분이 다량으로 검출되었음
식품회사에서 직선거리로 1㎞ 정도 떨어진 동일농가의 포장에서는 애호박이 정상적으로 잘 생육하고 측면 피복재에 부착된 물방울과 내부 2중 비닐피복의 물방울에서 적은 양의 질소가스가 검출되었음
시설하우스 피해현장과 정상포장에서 채취한 애호박 식물체를 분석한 결과, 황(S) 성분이 정상적으로 생육하는 포장에서는 830.8㎎/㎏이 검출되었고, 피해포장에서는 1,482.3㎎/㎏이 검출되었음
연동형하우스 야간온도 관리는 ‘축열물주머니+소형터널+천장부위 비닐1겹+3중 외피복+온풍난반기 가동’으로 13℃를 유지한다고 함
종합 검토의견
애호박 하엽이 일시적으로 황화되는 현상은 가스피해 및 환기시 찬공기와 접촉 등에 의한 피해증상과 유사하였음
첫 번째로 아황산가스에 의한 피해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애호박 식물체를 분석한 결과, 황(S) 성분이 정상적인 포장에서는 830.8㎎/㎏이 검출되었고 피해포장에서는 정상포장보다 651.5㎎/㎏이 많은 1,482.3㎎/㎏이 검출되었으나, 일반적인 식물체의 황 성분은 2,000∼5,000㎎/㎏인 점을 감안할 때(비료학 72페이지, 향문사) 애호박 잎마름 증상에 영향을 주었다고는 단정하기가 어려웠음
두 번째는 퇴비 및 유박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한 아질산가스에 의한 피해와 유사하나 동일한 시비 및 관리를 한두 장소 중 한 곳에서만 발생되고 전체 포장이 균일하게 발생된 점과 지하부의 뿌리 피해가 없는 것을 볼 때 아질산가스 피해로만 단정하기는 어려웠으며,
이번 애호박 잎마름 증상의 피해원인은 퇴비 및 유박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한 아질산가스와 인근 식품공장의 연기 유입에 따른 유해가스 그리고 환기 시 찬공기의 접촉 등에 의한 복합적인 피해로 생각할 수 있으나 현장출장시 피해발생으로부터 많은 시간이 경과되고 또한 식품회사의 공장가동이 중지된 상태여서 정확한 진단은 할 수 없었음
기술지도 방향
하우스 내 유해가스 배출을 위하여 환기 실시
인근 회사의 공장 연기의 하우스 내 유입에 따른 가스피해는 환경부 환경분쟁위원회에 원인규명을 요청할 것
관련 사진
피해포장의 하우스 내 전경
전 포장에서 동일하게 피해발생
피해포장(좌) 및 정상포장(우)의암모니아 측정 검색지 상태
애호박 잎마름 증상 피해
농가의 정상적인 애호박(동일시기 정식)
암모니아 가스측정(미검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