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로컬푸드, 로컬푸드 하죠?
요약
1. 로컬푸드란?
로컬푸드란 지역에서 생산한 먹거리를 장거리 수송과 다단계 유통을 거치지 않고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는가는 나라와 사람마다 제각각이며, 대체로 땅이 넓은 나라는 크게, 좁으면 작게 규정한다. 그러나 24시간 이내에 소비자에게 배달이 가능하거나 행정구역인 도나 시·군의 경계내로 정하는게 대부분이며, 보다 중요한 것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를 통해 만남으로, 농과 식의 사회적 거리가 축소된다는 것이다. 로컬푸드는 그 옛날 시장이라는 제도가 생길 때부터 존재하였으나 이후 시장의 거리가 확대되면서 사라졌다. 현대적 의미의 로컬푸드는 20세기이후 등장하였으며, 그 배경에는 서구의 대형화·상업화된 농업에 대한 반발이 자리한다. 한편 로컬푸드의 효과와 관련해, 푸드마일리지와 CO2의 감소와 경제적 효율성에 관한 논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땅이 좁고 지역색이 약한 우리나라에서, 로컬푸드는 국내산 표시제의 보완,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의 공급, 다원적 기능의 홍보, 지역의 부활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2. 세계의 로컬푸드 이야기
우리나라의 로컬푸드의 판매액은 직매장, 꾸러미사업(CSA), 직거래 장터를 포함 하는 경우, ‘14년 현재 약 2,950억 원으로 예상된다. 한편 로컬푸드 직매장과 직거래 장터는 더 높은 수취가격과 더 낮은 소비자가격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 힘입어 ’12년 3개소에 불과하던 로컬푸드 직매장은 ‘15년 2월 74개소를 넘었고, 매장 당 평균 매출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다. 일본은 식료(食料)의 자급률을 올리고, 직매장과 가공을 통한 농림수산업의 6차 산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JA아그리타운 건강의 고향, 오쿠이즈모 산지직송진흥 협의회, 시스이 요우조우시장, 야마토소요카제관 등이 우수사례로 꼽힌다. 미국은 파머스마켓, 지역사회지원농업(CSA),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로컬푸드와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드허브(food hub)도 출현해, ‘12년 현재 7조 1,361억원이라는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공통농업정책(CAP)에 대한 반성과 함께 소농을 위한 로컬푸드가 본격화되고 있다. 비단 생산자가 주도하는 형태 (Avicultura Campesina)뿐만 아니라 윤리적 소비조합(Gruppi di Aquisisto Solidale),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대 (La Ruche Qui Dit Qui)등의 다양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3. 시사점
로컬푸드는 농업인에게는 경쟁력을, 소비자에게는 안전과 신뢰를 전할 수 있는 상생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추세인 슬로푸드 등의 조류에도 맞고, 지역 균등 발전, 경제활성화 그리고 먹거리의 안전에도 부합한다. 그러나 로컬푸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현재의 로컬푸드 사업에 지역의 토종농산물, 향토음식, 전통 문화를 연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로컬푸드란 지역에서 생산한 먹거리를 장거리 수송과 다단계 유통을 거치지 않고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는가는 나라와 사람마다 제각각이며, 대체로 땅이 넓은 나라는 크게, 좁으면 작게 규정한다.
미 농업법(Farm Act)은 산지에서 640km, 신 옥스퍼드 사전에서는 반경 160km 이내, 영국 파머스마켓 협회는 반경 48km, 런던 파머스마켓은 160km로 규정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또는 지산제휴), 이탈리아의 지역농업 육성처럼 직거래를 통해, 농(農)과 식(食)에 관한 윈윈(win-win)사례가 만들어진 것
인류는 로컬푸드에서 출발하였다!
농경문화 발생당시부터 인류는 먹거리를 스스로 재배하거나 채취, 수렵 등으로 충족시켜왔으며, 부족한 것은 이웃과의 물물교환으로 해결해왔음
농림부장관 얼 버츠(Earl Butz)의 농산물 생산에 들어가는 평균 비용을 낮추어 농산물 가격을 안정화할 목적
“집에 밥 먹으러 와(Coming Home to Eat)” 읽어 볼까?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로컬푸드의 필요성에 대한 영감을 준 게리 폴 나브한(Gary Paul Nabham, 2002)
한편 아메리칸 패밀리 소아병원내에 최초의 파머스 마켓 카페까지 등장
‘로컬푸드의 효과’를 둘러싼 끊이지 않는 논쟁?
현대의 규모화·세계화된 농업의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 로컬푸드가 주목받고 있으나 학계에서는 이점(利點)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음
일본 국민의 원산지 표시에 대한 긍정 평가가 94%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매우 낮은 수준(농업·농촌에 대한 2014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KREI)
2015년 9월 소비자 390명을 대상으로 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조사 결과임
줄어드는 ‘국내산 충성도’, ‘로컬푸드’가 대안이 될 수 있나?
지역산 표시를 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국내산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보다 저렴하면서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안!
국내산 충성도(비싸도 국내산 구입): 37%(’09) → 34.1%(’12) → 29.5%(’14)
로컬푸드의 ‘안전성’,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
최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농협중앙회와 로컬푸드의 농산물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통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15.4, 농림축산식품부)
생산자 입장에서 친환경농산물을 도매시장으로 유통시키는 경우, 친환경의 차별성을 인정받지 못해 수취가격이 기대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
경제학적으로 다원적 기능은 공공재(Pubic goods)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주인 없는 물건처럼 낭비, 훼손되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함
도시민 10명 중 8명은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모른다?
2014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해 알고 있는 국민은 36.1%(농업인 49.7%, 도시민 22.5%)에 불과
참고자료: 김동원 외, ‘농업·농촌에 대한 2014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KREI
미국의 ‘Farm to School’의 경우, 학생들이 농가에서 농사체험을 할 뿐만 아니라 이 때 수확한 농산물이 실제 급식의 재료로 등장
우리나라에는 연산오골계, 자광벼, 자주감자, 풍각초(고추), 능금, 청실리(배), 영목리(배), 홍귤, 진귤 등 지역의 토종자원이 존재(’99, 농민신문사)
자광벼(김포)
자주감자(춘천)
풍각초(청도)
홍귤(제주)
이러한 산업생태계의 조성은 지역의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우리나라 로컬푸드 판매액 (단위: 억 원)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목표) | 연간 성장률 |
---|---|---|---|---|
직매장 | 404 | 694 | 950* | 53% |
꾸러미 | 138 | 193 | 200 | 20% |
직거래장터 | 1,353 | 1,619 | 1,800 | 15% |
합계 | 1,895 | 2,506 | 2,950 | 25% |
자료: 박하나·김동환, “농산물 직거래의 성과와 발전방안”,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주: 2014년 로컬푸드 직매장은 목표치가 아닌 실제 실적
이 조사는 직거래 업체 20개소, 일반마트 20개소를 대상으로 39일간 2∼5회 가격을 조사하여 1,566건(과일 및 채소)을 비교한 결과
대도시에 로컬푸드 직매장은 대구(2), 광주(2), 울산(2), 인천(1), 서울(1) 등
로컬푸드 1번지, 용진농협 로컬푸드 직매장의 성공요인?
명실공히 우리나라 최초로 로컬푸드 사업을 시작한 곳으로, ‘13∼’14년 연속 100억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한 우리나라 로컬푸드의 메카
자료: “용진농협의 로컬푸드 직매장 성공요인과 시사점”, 농협경제연구소, 2013
아이치(愛知)현 오부(大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간 판매액은 약 227억 원
출하농민 수는 2천 8백명, 연간 판매액은 64억 원(6억 8천만 엔)을 기록
아그리타운 직매장
자주감자(춘천)
풍각초(청도)
홍귤(제주)
구마모토(熊本)현의 기쿠치(菊池)시에 위치하며, 요우조우시장출하자협의회 335명으로 구성되어 38억 원(4억 엔)의 매출을 기록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 한지와 유사한 사가현의 ‘나오와시(名尾和紙)’도 이곳에서 인기가 많은 상품
연간 약 100만명이 방문하여 매출액 51억 2천만 원(5억 4천만 엔)을 달성하고 있으며, 참여하는 농가의 수는 476명
시스이 요우조우관
에키벤
야마토 소요카제관
지역특산 곶감 양갱
노스캐롤라이나주 협력지도소(N.C. Cooperative Extension)와 골든 리프재단의 후원을 받아 환경농업시스템(CEFS)가 사업을 추진
미국에는 ‘로컬푸드 소비 지수(Locavore Index)’가 있다?
미국의 주(州)별로 어느 지역이 지역산 농산물을 많이 소비하는지에 대해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매년 갱신(’15, Strollingoftheheifers.com)
지역의 지도소(Cooperative Extension), 농업인, 소비자뿐만 아니라 파머스 마켓 매니저 등이 참여
소비자에 대한 교육 과정은 초등학생들과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미래의 지역주민들에게 지역 농업의 중요성을 일깨워줌
미국 로컬푸드의 현 주소는?
2012년 현재, 미국의 로컬푸드 매출 총액은 7조 1,361억 원(약 61억 달러)으로 추정(’15, Agricultural Resource and Management Survey 등)
참고자료: Sarah A. Low et al, “Trends in U.S. Local and Regional Food Systems: AReport to Congress”, USDA ERS, 2015. 1.
위스콘신 주의 비로콰(Viroqua)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경 약 241km(150마일)을 관할할 정도
n.c. 10% campaign
PlacerGrown
Fifth Season Co-op
조합에서 농산물을 직접 수집, 수송하고 분산하고 저장하는 수고로움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2일내 배송을 원칙으로 함
Gruppi di Acquisto Solidale
La Ruche Qui Dit Oui
farmářské tržištĕ
롤모델은 런던 시민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버로우(Borough)마켓과 도심 속 시골장터인 뉴욕의 그린마켓(Greenmarket)
3월부터 10월까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상시 열리며, 수도 프라하에만 현재 13개의 마켓이 조성
유럽 사람들의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얼마나 자주 직거래를 통해서 농산물을 구매하는가?
로컬푸드를 구매하는 것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는가? (75% 찬성)
로컬푸드를 구매하면 지역의 고용창출에 도움을 준다고 보는가? (89% 찬성)
로컬푸드가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가? (78% 찬성)
로컬푸드를 어디서 사야하는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가? (67% 찬성)
정부가 로컬푸드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해야 하는가? (91% 찬성)
세계 3대 환경보호단체 중 하나인 지구의 벗(Friends of Earth)에서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역은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폴란드, 헝가리, 체코, 불가리아 등 8개국이며 8,362명 성인이 참여(’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