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디면충좀벌 (Aphelinus asychis)

  • 이용작물

    고추 , 파프리카 모든 시설원예작물

  • 국내분포

    전국

  • 국외분포

    유럽, 북미, 아시아지역

  • 특징

    진디면충좀벌은 2007년 대한민국에 처음 기록된 종이며 면충좀벌과에 속하는 크기가 작은 기생성 천적이다. 콜레마니진디벌로 방제하지 못하는 감자수염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 방제에 이용할 수 있다.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에도 기생하지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비해 기생력이 떨어진다. 성충은 크기가 약 3mm이고 상대적으로 짧은 다리와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암컷은 검은 가슴과 노란 배를 가지고 있으며 수컷은 암컷보다 더 작고 짙은 색의 배를 가지고 있으며 더듬이도 짧다. 대부분 진딧물 1마리에 1개의 알을 낳으며, 복수의 알을 낳더라도 우화하는 것은 1개체뿐이다. 진딧물 다발생 시에는 사용을 피하고 진딧물이 소량 발생했을 때 발생지점을 중심으로 예방적 차원에서 방사해야 방제효과를 볼 수 있다.

  • 문헌정보

    Young Woong Byeon, Midori Tuda, Jeong Hwan Kim and Man Young Choi. 2011. Functional responses of aphid parasitoids, Aphidius colemani (Hymenoptera: Braconidae) and Aphelinus asychis (Hymenoptera: Aphelinidae). Biocontrol Science and Technology, 21(1): 57-70. Young Woong Byeon, Midori Tuda, Masami Takagi, Jeong Hwan Kim, Man Young Choi. 2011. Life History Parameters and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Development of an Aphid Parasitoid Aphelinus asychis (Hymenoptera: Aphelinidae). Environmental Entomology, 40(2): 431-440. Young Woong Byeon, Midori Tuda, Masami Takagi, Jeong Hwan Kim and Yong Heon Kim. 2009. Non-Reproductive Host Killing Caused by Aphelinus asychis (Hymenoptera: Aphelinidae), A Parasitoid of Cotton Aphid, Aphis gossypii (Homoptera: Aphididae). J. Fac. Agr., Kyushu Univ., 54 (2): 369?372.

  • 대상해충
  • 생태정보

    진디면충좀벌의 산란(복숭아혹진딧물)진디면충좀벌의 산란(복숭아혹진딧물) 진디면충좀벌의 산란(목화진딧물)진디면충좀벌의 산란(목화진딧물)
    진디면충좀벌의 기주섭식으로 치사한 진딧물진디면충좀벌의 기주섭식으로 치사한 진딧물 진디면충좀벌의 머미진디면충좀벌의 머미
    진디면충좀벌은 진딧물의 몸속에서 알, 유충, 번데기의 과정을 거쳐 성충으로 우화한다. 암컷은 약 21일간 생존하면서 하루에 평균 약 15개, 죽을 때까지 총 343개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우화 즉시 암컷과 교미하며 수명은 약 8일로 암컷보다 짧다. 암컷은 우화 후 4∼7일 사이에 가장 많은 알을 낳으며 이후 점차적으로 산란수가 줄어든다. 또한 수명유지 및 알 생산을 위해서 생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진딧물의 체액을 빨아먹는다(기주섭식). 하루 평균 약 3.3마리, 생존기간동안 총 74마리의 진딧물을 기주섭식으로 치사시킨다. 알-머미 기간은 25℃에서 6일, 머미-성충우화 기간은 약 7.6일, 알-성충우화기간은 약 13.5일이 소요되며 암컷의 비율은 약 50%이다.
    이 기생봉은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수염진딧물류에도 기생하는 천적이다. 30℃에서 진디면충좀벌의 치사율은 약 11%, 고치벌과의 진디벌류(Diaeretiella rapae, Aphidius matricariae)의 치사율은 약 92∼100%여서 진디벌류에 비해 비교적 고온에서도 활동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 이용방법

    진디면충좀벌은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에 기생하거나 기주섭식하여 진딧물을 치사시킨다. 콜레마니진디벌에 비해 기생력이 낮으므로 콜레마니진디벌이 기생하지 못하는 감자수염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의 소발생 시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기생성 천적은 국내 천적회사에서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제품을 받으면 직사광선이 없을 때 방사하는 것이 좋으며, 보관할 경우 약 10℃의 저온에서 보관하고 48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콜레마니진디벌에 비해서는 비교적 고온에서 진딧물에 기생하지만, 30℃이상이 되면 천적의 기생력이 떨어질 수 있다. 진딧물이 다발생한 경우에는 방제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콜레마니진디벌, 어비진디벌, 진디혹파리 등의 천적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아직까지는 이 기생봉에 기생하는 중기생자는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