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農)영상

  • 화훼
  • 라넌큐라스
라넌큘러스 조직배양 기술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25 년
  • 638
시나리오

13. 라넌큘러스 조직배양 기술

1. 오프닝
다양한 색감과 풍성한 꽃잎이 우아하면서도 화려한 느낌을 주는 이 꽃! 바로 화훼계의 슈퍼스타 라넌큘러스인데요. 라넌큘러스는 저온성 작물로 겨울철 재배에도 난방비가 적게 들고, 꽃 소비량이 많은 1~2월에 출하할 수 있어 재배 농가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소득 작물임에도 불구하고 농가에서는 라넌큘러스 재배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데요.

재배자 SOV> 라넌큘러스는 구근으로 심는데 이 구근을 번식시키는 것이 어렵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요. 그래서 다른 꽃에 비해 구근값이 많이 비쌉니다. 그러다 보니 도전하기가 아무래도 부담되죠.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조직배양으로 라너큘러스 묘를 대량으로 증식하는 방법과 증식한 묘를 건강하게 키워 구근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농가의 경영비 절감에 나서고 있습니다. 그럼, 라넌큘러스 재배 희망 농가를 위한 희소식! 조직배양기술부터 알아볼까요?

2. 대량증식 첫 걸음! 라넌큘러스 조직 배양기술을 소개합니다.
식물의 조직배양은 식물의 세포나 조직, 기관 등을 이용해 무균상태에서 배양하는 기술을 말하는데요. 이를 이용해 식물체를 대량 증식할 수 있습니다. 라넌큘러스 조직배양은 구근에서 발아한 신초를 떼어 증식합니다. 따라서 라넌큘러스 조직배양을 위해서는 발아한 신초를 준비해야 하는데요. 신초는 건강한 구근에서 5∼10cm 정도 자란 것을 선택하고, 소독을 위해 겉잎을 일부 제거해 주세요.

채취한 신초는 70% 에탄올에 30초 동안 담근 후 증류수로 3번 세척한 다음, 3% 치아염소산나트륨이 든 진공펌프에 10분간 소독하고, 신초 소독이 끝나면 기내에 식물을 도입하는 초대배양을 하는데요. 이를 위해 조직배양 기간 동안 토양을 대신할 배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배지는 NAA(나프탈렌 아세트산) 0.11µM(마이크로몰), BA(벤질아데닌) 2.22, Kinetin(키네틴) 9.29, MS(엠에스) 1배 배지, Sucrose(설탕) 30g이 좋습니다. 잘 만들어진 배지는 배양병에 나눠 담고 고압 멸균기로 무균상태를 만들어 준비해 주세요.

배지 멸균이 끝나면 클린벤치에 조직배양을 위한 기구들을 세팅한 다음, 소독한 신초를 증류수로 씻어 주고, 꺼내서 물기를 제거합니다. 그리고 깨끗이 소독된 시료에서 한 번 더 겉잎을 제거해 주고, 신초를 채취하는데요. 라넌큘러스는 신초에 털이 있어 오염이 잘 됩니다. 따라서 신초를 여러 개 준비하고, 채취한 잎은 배지가 담긴 배양병에 넣어 배양실로 옮겨 관리합니다.

배양실에서 20일 정도 지나면 배지 안에 신초가 자리를 잡고 새로운 잎이 돋아나는데요. 이는 정상적인 신초가 증식한 것으로 45일 이후에 증식배지로 옮기는 데 이를 계대배양이라고 합니다. 이때부터는 증식을 위해 BA(벤질아데닌) 2.22 µM(마이크로몰), Kinetin(키네틴) 9.29, MS(엠에스) 1배 배지, Sucrose(설탕) 30g 배지를 조성한 다음 배양병 1개에 증식된 신초를 분리해 3~4개 정도 옮겨 넣어줍니다.

연구관 SOV> 조직배양 묘는 배양 후 45일이 넘어가면 노화돼 증식률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따라서 증식 시기를 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대량증식을 위해 배양실에 넣어 둔 신초는 45일 간격으로 증식을 위해 배양병을 옮겨주는데요. 목표하는 수량에 달하면 온실에서 키우기 위해 뿌리 발생 배지로 옮겨줍니다. 이 정도 자란 잎은 이제 뿌리내리기를 위해 MS(엠에스) 1배 배지, IBA(인돌부티르산) 4.9µM, sucrose(설탕) 30g 배지를 조성해 옮겨 심은 다음 배양실에 다시 넣어줍니다.

연구관 SOV> 라넌큘러스는 품종에 따라 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대, 증식, 발근 시 호르몬 농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배양실에서 45일 정도 지나면 뿌리가 돋아나는데요. 이 상태가 되면 드디어 완전한 조직배양 묘가 됩니다.

3. 대량 증식 목표 달성! 라넌큘러스 순화 및 구근 양구 기술
이제 대량증식 된 조직배양 묘를 건강하게 재배해 좋은 구근을 생산하는 기술에 대해 알아볼까요? 일반적으로 라넌큘러스 구근은 9월 하순부터 심는데요. 조직배양 묘는 10월과 11월 사이에 아주심기 하는 것이 재배는 물론 건강한 구근 생산에도 유리합니다. 따라서 10월 이후에 잎은 5cm, 뿌리는 3cm 정도 자란 조직배양 묘를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한 다음 깨끗한 원예용 상토를 격리된 배드나 상자에 담고 약한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아주심기 하는데요.

조직배양 묘는 고온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아주심기 한 다음 온도가 높지 않게 서늘하게 관리하고, 고온 시에는 차광을 해줍니다. 이후 재배 관리는 일반 구근 재배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는데요. 생육 초기에는 한낮의 온도가 25℃ 이상 되지 않게 하고, 재배 중 야간온도는 10℃로 관리합니다.

아주심기 한 다음 해 5월 이후가 되면 라넌큘러스는 고온에 휴면하는 특성을 보이는데요. 이때는 물을 주지 말고, 한 달간 구근을 말린 다음 수확합니다. 수확한 구근은 10℃의 저장고에 저장한 다음 9월에 꺼내 심어 재배하면 3~4개월 이후부터 예쁜 꽃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클로징 경영비 감소에 웃음꽃 활짝~: 라넌큘러스 재배 현장
조직배양 기술로 생산된 조직배양 묘와 구근은 현재 라넌큘러스 재배 농가에 큰 기대를 받고 있는데요. 과연 그 소문의 진상을 한 번 확인해 볼까요?

농업인 SOV> 기존의 수입 구근은 가격이 매우 높아 부담이 됐는데요. 국내에서 라넌큘러스 구근을 대량 증식할 수 있는 기술이 확립되어 농가에 보급된다면 우리 농가의 경쟁력이 훨씬 높아질 수 있다고 봅니다.

농촌진흥청에소는 국내 조직배양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라넌큘러스 국산 구근이 농가에 보급될 수 있게 준비하고 있는데요. 라넌큘러스 조직배양 기술이 우리 화훼 농가에 큰 희망이 되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