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뭄대책 |
○ 가뭄피해기작
가뭄의 피해는 대체로 아주심기 한 후인 5~6월에 자주 발생하는데 대체로 침수보다는 가뭄에 다소 강한 작물로 알려져 있으나, 건조할 경우에는 식물체의 생장 및 낙화, 낙과가 많이 되기 때문에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물빠짐이 좋은 밭에서는 관수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 가뭄피해증상
고추는 천근성 작물로서 지표하 30㎝ 내에 전체 뿌리 량의 80% 이상 분포하고 있어, 건조가 심해지면 식물체가 위조되는 등의 피해가 빨리 나타난다. 식물체 세포내의 수분이 감소되면 제한 인자가 되어 광합성이 감소하고, 양분흡수 및 물질전류 등의 여러 생리작용도 저해된다. 효소의 작용이 교란되어 합성적 변화가 감소하고, 분해적 변화가 우세하여 단백질 및 당분이 소모되어 피해를 받는다. 건조에 의해 세포가 탈수 될 때에 원형질은 세포막에서 이탈되지 못한 채로 수축하므로 기계적 견인력을 받아서 파괴된다. 탈수된 세포가 갑자기 흡수할 때에도 세포막이 원형질과 이탈되지 않은 채로 먼저 팽창하므로 원형질은 역시 기계적 견인력을 받아서 파괴되는 일이 있다. 세포로부터의 심한 탈수는 원형질이 회복될 수 없는 응집(영구위조)을 초래한다. 식물체의 생장상태는 토양수분의 흡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뿌리에서 수분의 흡수는 뿌리를 둘러싸는 토양조건과 뿌리 자체의 체내 조건과의 상호관계에 의해서 지배된다. 뿌리가 흡수면 근처의 유효수분을 전부 흡수하면 이 부분을 향해서 오는 토양 모관수의 이동은 극히 완만해지므로, 그 이상의 흡수가 곤란해지지만 뿌리가 다시 수분이 많은 곳을 향하여 신장하게 되면 흡수를 계속 할 수 있다. 그러나 토양 내에 절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부족하여 토양의 수분 보유력이 뿌리의 흡수력과 같아지면 뿌리가 수분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작물이 시들어 건조해를 받게 되는 것이다. 또 공기중이나 토양내가 건조하면 식물체의 잎에서 증산되는 수분량이 뿌리에서 흡수하는 수분량보다 많을 때 식물체의 함수량이 감소해 위조가 나타나게 된다.
○ 대책
건조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건성 품종이 개발되어야 하고, 이러한 품종을 재배하여야 한다. 그리고 포장에 관수하여 적절한 토양 수분을 유지시켜 식물체가 생육장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보통 토양수분이 pF 2.0에서 2.5사이 일 때 수량이 높고 생육, 개화 및 결실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물 빠짐이 좋은 밭에서는 2줄이랑재배를 실시하고, 밭 전체에 비닐멀칭을 실시하여 수분증발을 막는다.
관수방법으로는 고랑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이랑관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살수, 점적테이프를 이용한 점적관수 등이 있는데, 이랑관수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관수방법의 경우는 물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원균과 물방울이 튀김으로서 전염되는 병원균이 포장내에 잠재하여 있을 경우에는 급속히 전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점적관수장치를 이용하여 관수하는 것이 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좋다. 점적관수 시설을 설치한 밭은 지온이 높을 때 물을 주면 지온이 내려가기 때문에 생육에 유리하다. 1회 관수량은 이랑관수의 경우 3일에 30㎜ 정도가, 150㎝ 이랑에는 이랑 중앙부에 3일에 150㎜ 정도를 공급하는 것이 적당하다. 관수하기가 어려운 밭이나 경사지의 밭의 경우는 분무기로 고추포기에 직접 물을 준다. 관수하기가 불가능한 밭은 김매기를 철저히 한다. 지표면에서의 수분증발을 막기 위하여 포장 전면을 멀칭하는데, 멀칭재료로는 비닐, 짚, 풀, 퇴비 등이 있다. 토양표면을 긁어서 토양 모세관을 붕괴시키고 잡초를 제거해 주면 토양수분의 증발을 막을 수 있다. 또 토양표면이나 식물체 잎으로부터의 증산작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증산억제제 OED 등을 지면이나 엽면에 살포한다. 토양이 건조하면 석회의 흡수가 잘 안되기 때문에 석회 결핍과의 발생이 많아지므로 염화칼슘 0.3%액을 7일 간격으로 2~3회 잎에 뿌려준다. 질소의 시용을 줄여 식물체의 과번무를 방지하여 토양수분의 소모를 억제하고, 퇴비, 인산, 칼리 등을 시용하여 식물체를 튼튼하게 키우도록 한다. 건조할 경우에는 진딧물의 발생이 많아지기 때문에 방제를 철저히 하여 바이러스 병의 전염을 방제하고, 웃거름은 물 비료로 만들어서 포기사이마다 부어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