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름주기 |
○ 시비 및 이랑만들기
시비시비량은 품종, 토양의 비옥도, 재식주수, 전작물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지재배에서는 10a(300평)당 성분량으로 질소 19.0kg, 인산 11.2kg, 칼리 14.9kg을 사용하되 지력감퇴가 심하여 생육이 불량하고 병해가 심할 때는 퇴비를 증시하면 효과적이다. 석회는 농용석회나 고토 석회를 100∼200kg 시용하고 붕소는 2kg 정도를 시용한다.
퇴비와 석회 등의 밑거름을 시용하는 시기는 밭을 경운하기 2∼3주전이 좋으며, 밭 전면에 골고루 펴지도록 한다. 그리고 화학비료는 5∼7일전 이랑을 만들 때 시용한다. 인산은 모두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질소와 칼리는 50∼60%는 밑거름으로 주고 나머지 40∼50%를 4∼5회로 나누어서 웃거름으로 준다.
밭의 경운은 경운기나 트랙터로 깊이갈이를 하여 작물이 자랄 수 있는 충분한 작토층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이랑의 넓이는 재배하고자 하는 토양의 비옥도 및 품종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1줄 이랑재배는 이랑의 넓이를 80∼90cm로, 2줄 이랑 재배는 150cm로 한다. 최근의 품종들은 가지가 많은 쪽으로 육성이 되어 너무 밀식했을 경우에는 병해충 방제, 수확 등 관리작업이 불편하고 탄저병 등의 병 발생이 증가하는 수가 있다. 이랑의 높이는 높은 곳에서 수량증가 및 역병발생율이 감소하므로 관리기 등을 이용하여 될 수 있는 한 이랑의 높이를 20cm이상으로 높여주는 것이 좋다. |
|
<이랑의 높이에 따른 수량의 변화와 역병발생율의 차이> |
이랑높이 |
0cm |
15cm |
30cm |
45cd |
수량지수 |
100 |
128 |
123 |
104 |
역병발생률(%) |
17.6 |
7.8 |
5.3 |
5.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