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상주시

논벼 중기제초제를 살포한 후 3일경부터 벼 잎끝이 하얗게 변색되면서 말라죽는 피해가 발생하였어요

  • 기술지원일 2018-06-18
  • 작성자 고호철
  • 조회수 1,952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시2018. 6. 18(월)
  • 장소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신촌리 615
  • 출장자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 지도관, 박종욱·이기상·김종진기술위원

    현지 조사협조 : 상주시농업기술센터 식량작물담당 윤여성 외 1명

영농현황

  • 농 가 명 : 경북 상주시 화동면 중화로 1313-6 신○○ 농가
  • 작 물 명 : 벼(일품)
  • 피해면적 : 약 2,970㎡

농가의견

5월 18일 모내기 하고 6월 5일 중기제초제를 살포한 후 3일경부터 벼 잎끝이 하얗게 변색되면서 말라죽는 피해가 발생하여 정확한 피해 원인을 밝혀주기 바람

현지 조사결과

  • 피해논의 토양은 화동통으로 표토는 미사질양토, 심토는 식토로서 점토 함량이 비교적 높은 토양으로 투수성은 매우 느리며, 표토의 pH는 5.5 내외로 비교적 낮은 토양이었음
  • 민원인은 써레질시 초기제초제 마세트300현탁제를 10a당 100㎖씩 살포하고 5월 18일 모내기를 하였으며, 모낸후 3일에 살충제 박멸탄수면전개제를 살포하고 모내기 5∼6일 후에 마세트입제를 10a당 3kg 살포하였다고 함
  • 중기제초제는 6월 5일 다킬입제를 10a당 3kg 살포하였는데 그 후 3∼4 일경 부터 잎끝이 하얗게 변색되면서 말라죽는 피해가 발생하였다고 주장함
  • 현장확인 결과 마을 인근 포도밭 인접 포장은 주로 지면이 높은 지역에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일부는 모낸후 새 뿌리가 내리기전에 완전히 고사되어 결주가 된 상태였으며, 일부 포기는 현재에도 분얼경이 꼬부러져 나오고 고사되는 줄기도 있었음
  • 그 외 들 가운데 피해 필지는 주로 지면이 낮은 지역의 벼가 고사되었는데 모낸 후 새 뿌리가 내리기전에 완전히 고사되어 결주가 된 상태였으며, 2필지 모두 피해주 이외는 생육이 회복되어 정상 생육 중에 있었음

종합 검토의견

  • 민원인의 논은 토양에 이상이 없었고 병해충 발생증상도 발견되지 않은 것 으로 보아 본답 초기에 사용한 제초제 및 살충제 사용 부주의로 인한 약해로 추정됨
  • 지면이 높은 지역이 주 피해 지역인 것으로 보아 논 균평작업이 잘되지 않아 논 바닥이 들어남 지역에 초기 제초제를 2회 살포하여 약해를 받아 뿌리내림이 늦어지고 활착이 지연되어 생육이 부진한 상태에 중기제초제를 살포하여 약해를 받아 벼가 고사된 것으로 추정되며,
  • 지면이 낮은 지역의 피해는 벼가 물에 잠겨 질식고사 되었거나 모낸 후 새 뿌리가 내리기전에 박멸탄수면전개제를 살포하여 물에 잠기고 처진 잎에 약액이 묻어 잎이 황백화되면서 고사된 것으로 추정됨
  • 민원인은 피해지역에 일부 포기가 고사되어 결주가 되거나 1∼3본 정도 남은 포기로 인하여 생산에 차질을 우려하나 피해면적이 적고 현재 생육이 회복되어 금후 본논관리만 잘 하면 생산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판단됨

[참고] 제초제 약효·약해에 관한 주의사항

1. 박멸탄 수면전개제

  • 약액이 벼잎에 직접 묻을 경우 연약한 벼는 갈색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어린모에 사용할 때에는 벼잎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물관리에 유의하여 주십시오.
  • 벼의 활착전이나 벼의 잎이 물에 잠길 정도로 담수심이 깊은 논에서는 사용하지 마십시오.(2017 작물보호제 지침서 : 605쪽)

2. 다킬 입제

  • 이농약을 뿌린후 이상기온이 수일간 지속될 경우 초기생육(초장, 분얼)이 억제되나 곧 회복되어 후기생육과 수량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 이농약은 뿌리가 노출되어 있는 벼에는 약해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2017작물보호제 지침서 : 1021쪽)

기술지도 방향(농가 실천사항)

  • 벼 생육이 회복되고 있으니 물관리 등 정상적인 본논관리를 하기 바람
  • 비료 및 농약 사용시에는 사용시기와 사용량을 준수하고 사용 주의사항을 반드시 숙지한 후 사용하기 바람

관련 사진

피해포장 전경피해포장 전경 피해포장 전경피해포장 전경 피해 우심지역피해 우심지역 피해증상피해증상 피해상황 조사 피해상황 조사 농가의견 청취농가의견 청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