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살구 텃밭가꾸기

  • 등록일2009-06-10
  • 작성자전지혜
  • 조회수14,018
살 구(Apricot)

  • 1. 명칭
  • 학 명 : Prunus armeniaca
  • 영 명 : Apricot
  • 한 명 : 杏

  • 2. 원산지 및 내력

살구나무는 식물분류학상 桃李科(Drupaceae), 桃李屬(Prunus Linn.), 李亞屬(Euprunus Koehne), 살구區(Armeniaca J. Koch)에 속하는 낙엽 교목성 과수이며, 동부아시아가 원산지로 중국에서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지방의 하건대를 거쳐 1세기경에 유럽에 전파되어 적응 개량된 것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일본·유럽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품종군은 생태형에 따라 중국, 우리나라, 일본에 주로 재배되는 동아시아계와 남유럽과 미국 서남부에 주로 재배되는 구주계로 분류된다.

살구라는 말의 사용은 옛날 동이족이 개를 잡아 목매어 죽인 나무를 살구목(殺狗木)이라 한것에부터 비롯되었다고 한다. 고사에 중국 명(明)의 동봉(董奉)은 환자를 치료해 주고 살구나무를 주어 심게 하였는데 의사를 가리켜 행림(杏林)이라 불렀다해서 오늘날 의사를 존칭할 때 행림이라 부를 만큼 살구는 한방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치료 약제로 쓰이고 있다.


  • 3. 국내외 생산현황
  • 세계 생산현황
국가, 재배면적(ha), 생산량(톤) 표
국 가 재배면적(ha) 생산량(톤)
세 계 318,278 2,582,154
터키 63,500 580,000
이 란 32,000 284,000
스페인 24,500 142,300
러시아 20,000 75,000
이태리 15,583 111,300
프랑스 15,000
중 국 18,730

  • 국내 생산현황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초부터 우량 품종의 선발 보급으로 규모화된 재배가 본격화되면서 250ha 내외였던 것이 최근 300ha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다른 과수에 비하면 아주 적다(표 2). 이와 같이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나지 않았던 이유는 신맛이 적고 당도가 높은 우량 품종의 보급 부진으로 수요를 확대해 오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구분, 1982년, 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표
구분 1982년 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전 국 307.0 434.7 127.8 262.2 306.0
경 기 114.5 119.6 37.6 30.2 41.2
강 원 9.9 20.2 2.5 29.3 31.5
충 북 5.4 24.8 9.0 15.9 20.7
충 남 45.4 60.5 19.8 56.8 34.3
전 북 5.6 11.2 1.1 8.5 13.1
전 남 46.2 28.6 3.6 12.5 19.1
경 북 56.4 154.6 48.7 85.4 11.4
경 남 22.2 15.1 2.1 17.2 27.5
기 타 1.4 0.1 0.2 6.4 4.6

  • 4. 주요품종 특성

살구는 동아계(東亞係) 와 유럽계의 두 종류가 있다. 동아계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유럽계는 미국과 유럽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의 특성
종류, 품종명, 특성 표
종류 품종명 특성
재래종 떡살구 우리나라에서 대대로 자라온 한국 토박이 품종의 총칭임. 과실이 다소 작으나 단맛이 강하고 과육이 찰짐. 아무 땅에서나 잘 자라기 때문에 재배가 쉽다.
동양종 신사대실 7월 하순에 완숙하며 생식용으로 우수함. 약간 미숙시에는 펙틴 함량 높아 쨈용으로 적당. 열과가 있는 것이 다소 흠.
산형 3호 병에 강하며 수확기가 길어 관상하기 좋다. 결실력이 높아 풍산성이나 과다 결실되기 쉽다. 숙기 때 비를 만나도 열과가 심하지 않다.
광도대실 7월 상순에 수확되며 산미가 강하여 가공용으로 적합. 과피색이 등황색으로 우수하며 다수확 품종이다. 병이나 열과가 적어 재배하기 쉽다.
유럽종 하코트 대과(80g)로서 풍산성이다. 과피색이 홍색으로 착색되어 외관이 극히 수려하다. 산미 적고 당도 높아 생식에 우수하며 열과 없어 재배용이.
빅헝가리아 7월 중순 수확되며 대과로서 풍산성이다. 감미와 향기 높아 식미가 우수하다. 열과 없고 병에 강하여 재배용이.
어얼리오렌지 살구 중 가장 빨리 수확(6하) 되며 풍산성 오렌지이다. 감미가 극히 높아 생식에 적합하다. 열과 있고 병에 약하여 재배가 어렵다.

  • 5. 생리생태적 특성

살구나무의 재배 적지는 온대 북부지역의 비교적 한랭한 지역으로 사과재배 적지와 거의 일치한다. 겨울이 따뜻한 지역은 휴면타파가 불안전하여 생리적인 낙화 및 낙과가 일어나고, 성숙기에는 기온이 높아 성숙이 지연된다.

살구나무는 매실보다 휴면이 깊고 자두보다 내한성이 강하지만 늦서리 피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20~-25℃이하로 내려 가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또 과실 성숙기 강우는 열매터짐의 원인이 되므로 7월 이전 까지 비가 적은 곳이 유리하다.

뿌리는 침수에 매우 약하므로 지하수위가 높거나 물빠짐이 나쁜 곳은 재배 적지가 아니며 물빠짐이 사질양토가 바람직하다.


  • 6. 재배기술
  • 가. 묘목의 선택

살구의 묘목은 살구, 매실, 자두, 복숭아 종자를 대목으로 사용하는데 이중에서 살구 종자로 만든 대목(공대)에 접목한 묘목이 가장 좋다. 공대 다음으로 좋은 것은 매실 대목으로서 초기 발육은 좋으나 건조에 다소 약한 것이 결점이다. 대목 중 살구공대는 갈색을 띠고 있어 다른 대목과 쉽게 구별된다. 간혹 복숭아에 접목하여 판매하므로 황백색의 뿌리는 피하여야 한다. 심고자 하는 품종의 묘목 중 잔뿌리가 많고 접목 바로 위 직경이 1.5cm, 묘목길이는 1.5m정도가 알맞다.

묘목은 마디 사이가 촘촘하고 수피나 뿌리에 병해충 피해 흔적이 없어야 한다. 특히 뿌리 부분에 작은 혹이 붙어 있는 묘목은 절대 금한다.


  • 나. 심기
  • 심는 시기

    낙엽 직후 ~ 땅이 얼기 전, 이듬해 봄 땅이 녹은 직후

  • 심는 장소

    물 빠짐이 좋고 햇빛 쪼임이 양호한 곳

  • 심는 거리

    4m 이상


  • 다. 결과습성

살구나무는 매실, 자두 등과 같이 신초의 겨드랑이에 꽃눈이 붙는다. 대부분 겹눈 상태로 2-3개의 꽃눈과 잎눈이 함께 있어 끝의 잎눈이 해마다 조금씩 자라 나오면서 단과지가 된다. 살구도 지난해 자란 가지에서 꽃눈이 형성되어 금년에 꽃이 피고 2년생 결과지에 열매를 맺는다.


  • 라. 나무모양 만들기, 가지치기

살구의 수형은 매실과 같이 개심자연형이나 반원형이 적당하며 주지는 3-4개를 두는 것이 좋으나 엄격히 규제할 필요는 없다. 주지가 결정되면 그 위에 주지가 약해지지 않을 정도의 부주지로 여러 개 두어 결실부위를 많게 한다. 필요 없는 도장지는 제거하고 남은 가지는 1/3 정도로 잘라준다. 중, 단과지는 4-5년이면 고사하므로 부정아에서 발생한 가지를 이용하여 갱신해 준다.


  • 마. 결실관리

살구는 자가수정을 하므로 한 나무만 심어도 결실은 한다. 그러나 불완전화(不完全化)가 발생하여 수분 장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불완전화는 암술이 극히 짧은 것, 흑변 된 것, 흔적만 있는 것이 있고 또는 꽃잎이 1-2 매 밖에 없는 것, 꽃잎이 전혀 피어나지 않는 것 등이 있다. 불완전화의 발생 원인은 화아분화 후의 영양부족이나 동해를 받았을 때 발생한다.

착과량이 많을 때는 적과를 해 준다. 적과는 꽃이 핀 후 20-25일경에 1차, 40일경에는 2차로 한다. 적과 정도는 과실이 자라 닿지 않을 4-5cm정도의 간격을 두면 된다. 적과 과실은 작고 모양이 나쁘거나 병해충 피해 흔적이 있는 것을 우선 따낸다. 적과 방법은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과실을 잡고 약간 비틀면서 가지 끝 쪽을 향해 힘을 가한다. 살구는 과다 착과되기 쉬워 과실이 작아지고 품질이 떨어지며 과실 간에 서로 닿으면 부패병(회성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과를 꼭 실시하여야 한다.


  • 바. 거름주기

살구는 복숭아보다 개화기가 4-6일 빠르고 조생종의 수확은 6월 중. 하순부터 이루어지므로 이른 봄에 흡수하는 비료보다 전년도에 흡수한 비료가 더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살구는 복숭아나 자두에 비하여 질소질 비료의 반응에 더 예민하다. 질소흡수가 많아지면 착색불량, 숙기의 불 균일, 숙기의 지연 등이 일어나기 쉽고 특히 유목기에 질소질이 많아지면 웃자라서 겨울에 동해 피해를 받게 되므로 동고병의 피해를 많이 받게 된다.


살구의 표준 시비량

성분, 1년생, 3년생, 5년생, 10년생, 비고 표
성분 1년생 3년생 5년생 10년생 비고
질소 40 120 200 700 비료의 성분과 실제시용량은기초편거름주기항 참조
인산 15 50 100 350
칼리 35 95 150 500

비료 주는 시기는 11월의 밑거름, 4월이 추가거름 적기이다. 연간 시용할 시비량 중 질소는 70-80% , 인산 및 칼리는 100%를 11월에 주고 4월에는 질소 잔여량 20-30%를 준다. 비료 주는 방법은 밑거름 주는 11월에 뻗어 있는 가지 아래 부분을 30cm깊이로 파서 퇴비, 석회, 질소, 인산 및 칼리의 필요량을 흙과 섞으면서 되메우면 된다. 4월에 주는 덧거름은 질소 및 붕소를 나무아래 골고루 뿌리고 호미나 괭이로 긁어 준다. 정원 또는 화분 재식 시 완전히 썩지 않은 퇴비는 냄새가 나므로 완숙퇴비 또는 부엽토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마. 병해충 방제
  • 회성병

    수확기 근처에 과실이 회색곰팡이가 피면서 썩는다. 병에 걸린 과실은 속히 따서 땅속 깊이 묻고 수확 15일 전에 로브랄 등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 세균성 구멍병

    잎에는 갈색의 작은 병반이 생겨 조직이 죽으면서 떨어져 나가 구멍이 생기며 과실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겨 점점 커지면서 잔잔한 열과가 생기지만 썩지는 않는다.
    약제 방제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나무가 건강하게 자라도록 물 빠짐이나 햇빛을 잘 받도록 재배환경을 개선하고 비바람이 심하게 직접 받지 않도록 방풍림이나 울타리를 조성하고 발생초기에 농용신수화제 등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 흑성병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하나 주로 과실에 피해를 준다. 작은 암록색의 둥근점이 생겨 확대되면서 서로 만나 작은 균열이 생기나 부패하지는 않는다. 세균성 구멍병과 병징이 유사하나 발생 위치가 서로 다르다. 즉, 흑성병은 과실의 어깨부분에서 몸통부분으로, 세균성 구멍병은 과실의 과정부에서 몸통으로 번져나간다.
    낙화 직후부터 5월말까지 비온 직후에 수화유황제 등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 충해는 자두편 참조


  • 7. 식품가치 효능

살구는 비타민 A 함량이 다른 과종에 비하여 20-30배나 높고 고유한 향기와 색깔이 우아하기 때문에 약용으로 많이 쓰고 있는 과실이다. 살구는 풍부한 비타민의 영향으로 어린이의 발육을 도우며 야맹증 및 피로 회복에 아주 좋다. 종자는 행인(杏仁) 이라고 하여 폐나 기관지, 노약자의 해수병 등 여러 가지 한약제로 쓰이며 또한 화장품 재료와 분말을 만들어 살구 전 (티벳, 네팔등의 장수 마을 주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 콘텐츠 담당자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전지혜 (연락처 : 063-238-6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