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상주시

오이오이가 덩굴쪼김병에 걸렸어요

  • 기술지원일 2021-11-09
  • 작성자 최선주
  • 조회수 326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자2021년 11월
  • 지역경북 상주
  • 출장자최선주 농업주사보, 김태영·장병춘·고만건·강종국 기술위원

    현장조사 협조 : 박신자 농촌지도사 (상주시농업기술센터)

영농현황

  • 재배작물 : 오이(품종 ; 한강맛백다다기, 대목 ; 흑종호박)
  • 재배규모 : 14,300㎡(성○○ 농가 ; 6,700㎡, 김○○ 농가 ; 7,600㎡)
  • 정식일 : 2021년 10월
  • 재배방식 : 연동하우스(성○○ 농가 ; 10동, 김○○ 농가 ; 11동)

농가의견

  • 정식 후 초기에는 정상 생육이었으나 뿌리 활착이 불량하고 점차 지제부가 잘록해지며 오이가 쓰러지는 원인과 금후 대책에 대해 문의

현장 조사 결과

❮성○○ 농가❯

  • 민원인은 접목한 오이 모종을 육묘장에서 구입하여 10월 19일 10연동의 비닐하우스에 정식하였는데 하우스 10동 중 5동은 신설 재배지이고, 5동은 객토한 하우스였으며 피해지역은 하우스 내 신설 재배지에서 많이 발생하였음
  • 피해는 하우스 5동에 전체적으로 발생하였고 하우스별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피해양상은 군데군데 발생하였음
  • 상주지역의 오이 재배는 해마다 비슷한 작형이며 10월 중 정식하고 이듬해 6∼7월까지 180∼210일 정도 수확하는 장기 재배작형으로 시비량이 많은 형태임
  • 오이 정상주의 초장은 130cm, 엽장 20cm, 엽폭 30cm이나 피해주는 초장 70cm, 엽장 12cm, 엽폭 15cm로 작고 황화되고 있었음
  • 오이 피해 발생 농가의 하우스는 논에 설치되어 있고 사양토로 배수는 약간 양호함
  • 올해 6,700㎡ 면적의 연동시설하우스를 설치하였으며 설치 전 객토한 면적은 하우스 면적의 절반으로 45∼50cm 깊이에 경반층이 있음. 밑거름으로 시용한 과량의 혼합가축분 퇴비 16톤이 전면에 고루 살포되지 않아 표토와 심토의 전기전도도(EC)는 일정한 경향 없이 차이가 매우 심함

표 1. 농가 포장 토양검정 성적

농가 포장 토양검정 성적 안내

pH(1:5),EC(dS/m),OM(g/kg),Av. P2O5등으로 상세구분

구분 pH(1:5) EC(dS/m) OM(g/kg) Av. P₂O₅ K Ca Mg
(mg/kg) Ex.(cmol⁺/kg)
하우스 내 객토지 6.2 0.6 9 145 0.22 8.8 2.5
하우스 내 신설 재배지 5.0 1 21 217 0.27 3.2 1
적정범위 6.0∼6.5 2.0이하 20∼30 400∼500 0.7∼0.8 5.0∼6.0 1.5∼2.0
  • ※ 출처 : 상주시농업기술센터, 2021. 11., 흙토람
  • - 객토지의 토양산도(pH)는 정상이나 신설 재배지는 5.0로 낮았고 유효인산 칼륨 등도 낮은편임
  • 뿌리 위 줄기 부분이 잘록하게 되고 시드는 시료를 채취하여 경북농업기술원에서 분리 동정한 결과 덩굴쪼김병(Fusarium sp.)과 역병이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김○○ 농가❯

  • 육묘장에서 접목한 묘를 하우스 11동에 20,000주 정도 정식하였으나 정식 후 8일째부터 5차에 걸쳐서 10,500주 정도 보식하였음
  • 피해양상은 하우스 11동에서 비슷하게 발생하였고, 이상 증상이 예상되는 오이 옆에 주로 보식하였음
  • 오이 정상주의 초장은 130cm, 엽장 23cm, 엽폭 37cm이나 피해주는 초장 80cm, 엽장 16cm, 엽폭 20cm로 작고 황화되고 있었음
  • 민원인은 7,600㎡ 면적의 연동시설하우스 중 3,000㎡는 올해 신설하였으며 기존 하우스는 5년 전에 암거배수 시설과 깊이갈이를 매년 하였으나 신설지 토양은 50cm 깊이에 경반층이 존재하고 연작지는 60cm 깊이에 불투수층이 존재하여 토양수분의 수직배수가 느리고 표토 15∼20cm의 EC가 3.17∼4.75 dS/m로 매우 높았음

표 2. 농가 포장 토양검정 성적

농가 포장 토양검정 성적 안내

pH(1:5),EC(dS/m),OM(g/kg),Av. P2O5등으로 상세구분

구분 pH(1:5) EC(dS/m) OM(g/kg) Av. P₂O₅ K Ca Mg
(mg/kg) Ex.(cmol⁺/kg)
시설 오이 5.2 0.9 10 91 0.11 2.5 1.0
적정 범위 6.0∼6.5 2.0이하 20∼30 400∼500 0.7∼0.8 5.0∼6.0 1.5∼2.0
  • ※ 출처 : 상주시농업기술센터, 2021. 11., 흙토람
  • - 시설 오이 재배지 토양산도(pH)는 5.2로 매우 낮았고, 유효인산, 칼륨, 마그네슘 등 대부분이 적정보다 매우 낮은 경향임
  • 뿌리와 지제부 마름증상이 발생한 시료를 채취하여 경북농업기술원에서 바로 현미경으로 확인 시에는 병원균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온에서 5일간 방치 후 확인 시에는 다수의 덩굴쪼김병 (Fusarium oxysporium) 포자가 보였음

종합 검토의견

  • 성○○ 농가 객토지의 토양산도(pH)는 6.0으로 정상이나 신설 재배지는 5.0로 매우 낮았고 유효인산, 칼륨이 매우 낮아 영양분의 공급 흡수에 장애가 있었음
  • 김○○ 농가의 토양산도(pH)는 5.2로 낮았고, 유효인산, 칼륨, 마그네슘 등도 대부분 적정보다 매우 낮아 영양분의 흡수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됨
  • 전체적으로 오이 지제부가 갈변되고 토양과 접촉되는 줄기 아랫부분이 갈라지는 증상은 덩굴쪼김병으로 진단되었고 피해가 가중된 것은 토양 내 pH가 낮고 유기물함량이 적으며 EC가 높은 것이 병의 발생을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 오이 덩굴쪼김병은 토양 전염성병인 Fusarium oxysporium에 의한 병으로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해야 함
  • 작기가 끝난 후 담수와 태양열 소독을 실시함으로써 병원균의 밀도를 감소 시킬 수 있으며 토양수분을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
  • 다음 작기 시에는 토양검정 후 시비하고 토양 내 물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볏짚을 10a당 2톤 이상을 넣고 깊이갈이 하기를 추천함

관련 사진

오이 생육 상태(성○○ 농가) 사진오이 생육 상태(성○○ 농가) 보식 중인 오이묘 뿌리 상태(성○○ 농가) 사진보식 중인 오이묘 뿌리 상태(성○○ 농가) 오이 줄기 마름 피해 상태(성○○ 농가) 사진오이 줄기 마름 피해 상태(성○○ 농가) 생육 불량 오이의 뿌리 상태(김○○ 농가) 사진생육 불량 오이의 뿌리 상태(김○○ 농가) 추가 보식한 오이 생육 상태(김○○ 농가)  사진추가 보식한 오이 생육 상태(김○○ 농가) 현장기술지원 결과 설명  사진현장기술지원 결과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