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계롱시

오이오이, 토마토의 과실 비대가 불량하고 숙기가 지연되요

  • 기술지원일 2018-06-08
  • 작성자 고호철
  • 조회수 581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시2018. 6. 8. (금)
  • 장소충남 계룡시 두마면 농소리 244
  • 출장자이상준 서기관, 정종성, 고만건, 이주영 기술위원

    현장조사협조 : 이충형 농촌지도사(계룡시농업기술센터)

영농현황

  • 농 가 명 : 계룡시 두마면 농소리 244, 최◯천
  • 작 물 명 : 오이, 토마토
  • 재배규모 : 1,485㎡
  • 정 식 일 : 오이 4월 15일, 토마토 3월 1일
  • 재배방식 : 오이와 토마토, 포도를 4연동 비닐하우스에서 동시 재배

농가의견

민원인은 오이, 토마토 및 포도를 4연동 하우스에서 재배하는데, 5월 9일 ECC비닐 피복 후 오이와 토마토의 과실비대가 불량하고 숙기가 지연되고 있어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재배기술에 대한 문의

현지 조사결과

  • 민원인은 토마토를 3월 1일, 오이를 4월 15일에 같은 하우스(4연동)에 정식하여 재배하고 있음
  • 현재 토마토는 4단까지 착과시킨 후 적심하여 관리 중이고, 오이는 주당 1~2개의 과일 수확하고 그 이후의 과실들은 과실 비대가 지연되어 수확이 늦어지고 있음
  • 이상 증상을 나타내는 시설(ECC+PE+PE 3중 비닐피복) 내의 투광율은 46.1%로 대비하우스(인근 지역의 민원인이 경작하는 PE+PE 2중 비닐피복 하우스)의 63.5%에 비하여 낮았음
  • 병해충 예찰 결과 토마토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5%, 잎곰팡이병 10%, 오이는 흰가루병 80%, 총채벌레도 요방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음
  • 하우스의 토양은 지하수위가 높았고 수분함량 37%(적정25%이하)으로 비교적 과습 상태이었으며, 화학성 간이 측정한 EC는1.6~2.1 dS/m, pH6.4으로 적정수준임

종합 검토의견

  • 대비하우스 PE+PE비닐 2중 피복하우스의 투광율이 63.5%이므로 PE비닐의 투광율은 약 80%(80%×80%≑63.5%)이었고, ECC+PE+PE의 투광율이 46.1%이었기 때문에 ECC비닐의 투광율은 약 72.5% (63.5%×72.5%≑46.1%)로 추정됨
  • 이론적으로는 PE+PE+PE 3중 비닐 피복의 투광율은 50.8%이며 ECC+PE+PE 3중 피복의 투광율은 46.1%이므로 PE비닐을 ECC비닐로 교체함으로써 투광율의 변화는 4.7%가 낮았다고 할 수 있음
  • 즉, PE+PE비닐 2중 피복의 투광율은 63.5%, ECC+PE비닐 2중 피복의 이론적 투광율은 58%(80%×72.5%)임
  • 오이와 토마토의 과실 비대 지연 등 이상증상은 불필요하게 3중비닐 피복을 하였으며 투광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아 광량의 부족으로 광합성 산물의 생산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 더욱이 흰가루병 등 병충해의 만연과 부적절한 토양관리 및 ECC비닐 교체 등이 부가적으로 작용하여 정상적인 생육을 하지 못하여 발생한 이상증상으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농가실천사항)

  • 우선 투광율을 높이기 위하여 불필요한 내부 커튼 비닐을 제거하고, 내부 커튼을 설치한 경우에는 낮에는 광의 투과를 원활하도록 거두어 주는 등 처리가 필요함
  • 토마토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에 걸린 식물체는 조속히 제거하고 총채벌레를 주기적으로 예찰과 방제가 필요함
  • 오이는 흰가루병 방제를 철저히 하고 착과되어 오래된 과실과 노화 잎을 서서히 제거하여 상위에 착과되는 과실을 정상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 오이의 생장은 영양생장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생식생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관수량을 줄이고, 초저녁의 온도를 가능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 병해충의 예찰과 방제를 철저하게 하고, 피복비닐의 오염을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함
  • 토양 양분관리 기준은 농업기술센터 시비 처방서를 기준하여 관리요함

관련 사진

토마토 재배 전경토마토 재배 전경 토마토 개체군의 전경토마토 개체군의 전경 오이 재배 전경오이 재배 전경  오이 착과 상태 오이 착과 상태 흰가루병 발생 상태흰가루병 발생 상태 오이 상위 부위의 생장 상태오이 상위 부위의 생장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