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부안군

사과겹무늬썩음병과 줄기마름병에의해 사과나무가 고사해요

  • 기술지원일 2017-10-24
  • 작성자 이종남
  • 조회수 4,688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시2017. 10. 24.(화)
  • 장소전북 부안군 부안읍 선돌로 15
  • 출장자김이기 지도사, 이영철 · 한만종 · 곽한강 · 유문옥 위원

    현지 조사협조 : 부안군농업기술센터 소득작물팀장 김종구

영농현황

  • 농 가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신흥리 589, 이 ○ ○.
  • 작 목 명 : 사과 저수고 밀식 재배
  • 재배품종 : “후지”,“홍로”,“양광”,“산사”등(대목M.26)
  • 재식거리 : 3.5m × 2.0m
  • 재배면적 : 19,500㎡(약5,900평)

농가의견

야산을 개간하여 재식한 15년생 사과나무에서 지난해부터 생육부진, 조기낙엽 후 고사하는 나무가 발생하였고, 금년에는 피해가 확대되고 있어 정확한 피해 원인과 대책을 알고자 함.

현장조사 결과

  • 민원인은 19,500㎡(약5,900평)의 15년생 사과나무 1,750주 중 지난해에 약 200주가 생육불량, 조기낙엽 및 고사로 수확을 못하였고, 집단으로 피해가 발생한 나무들을 굴취 하였으며, 금년에도 약 300주정도가 피해를 받았다고 함(합계 500주 정도 피해 발생, 전체주수의 약 29%).
  • 고사한 사과나무를 굴취한 면적은 약 1,000평 정도로서 사과원의 2곳에서 집단적으로 굴취를 하였으며, 현장 방문 시에도 사과원의 여러 곳에서 사과나무가 조기낙엽 되면서 고사하고 있었음.
  • 민원인의 사과나무 생육상태는 대부분 생육이 부진하였고 주간에는 조피 증상과 사마귀 증상이 많이 발견되었으며, 일부 과실에는 겹무늬썩음병과 탄저병이 발생되어 있었음.
  • 조기낙엽 되면서 말라죽어가고 있는 사과나무를 정밀 관찰한 결과 대목 부분에서 갈변하여 부패되어 있었고, 땅속의 뿌리에는 대부분의 세근(잔뿌리)이 썩어 있었으며, 일부 굵은 뿌리도 썩으면서 부분적으로 흰색의 균사가 관찰되었음(관련사진 참조).
  • 고사한 사과나무 뿌리와 줄기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뿌리에서는 역병균(Phytophthora sp.)이, 줄기에서는 겹무늬썩음병(Botryosphaeria dothidea)균과 줄기마름병(Phomopsis sp.)균이 분리되었음.
  • 현장 토양 조사결과 토양산도(pH)는 6.9이고, 토양전기전도도(EC)는 0.6∼0.7dS/m로 모두 양호한 상태이나, 토양수분은 25∼30%로 많은 편이었으며, 경반층은 나무사이에는 없으나 열사이에는 깊이 30cm내외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종합 검토의견

  • 민원인의 사과나무가 고사한 원인은 고사한 나무의 뿌리에서 역병(Phytophthora sp.)균이 검출되고, 줄기에서는 겹무늬썩음병(Botryosphaeria dothidea)균과 줄기마름병(Phomopsis sp.)균이 분리되는 점 등으로 보아, 이들 병원균의 감염으로 인하여 나무의 생육이 부진하게 되고, 조기낙엽이 되면서 점차 말라죽은 것으로 판단됨.
  • 사과 역병은 병균은 토양 내 수분에 의하여 이동 확산됨으로 토양 수분과다가 문제이며, 겹무늬섞음병과 줄기마름병은 수세가 약하여 병균에 쉽게 이병된 것으로 사료됨(붙임 참고자료 Ⅰ).

금후 기술지도 방향(농가 실천사항)

  • 사과 역병의 확산방지를 위해 사과원 외부에서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게 배수로를 깊이 설치하고 과수원내 토양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할 것.
  • 사과역병에 감염되어 고사된 나무는 조기에 굴취하여 제거하고, 사과나무 생육기인 6∼9월에 지상부의 대목 및 줄기에 전문약제 살포하고, 줄기의 이병부위는 칼로 도려내고 아인산염 50~100배액을 2회 정도 도포하여 방제(붙임 참고자료 Ⅱ).
  • 겹무늬썩음병은 비가 많이 오는 장마기간에 병원균이 많이 감염되므로 장마 전부터 예방위주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고, 병에 걸려 떨어진 과실은 수거하여 땅속 깊이 파묻어 줌.
  • 줄기마름병은 수세가 약한 나무에서 발생이 심하므로 비배관리 및 착과량 조절, 동해 및 한해 등을 받지 않도록 관리하여 수세를 강건하게 유지 관리함.

관련 사진

생육이상 초기(좌)와 고사 사과나무(우)생육이상 초기(좌)와 고사 사과나무(우) 고사로고사로 굴취한 사과나무 사과나무 지제부 대목의 피해 상태사과나무 지제부 대목의 피해 상태 주간의 조피 및 사마귀 증상주간의 조피 및 사마귀 증상 썩은 측근과 세근에 발생한 흰색의 균사썩은 측근과 세근에 발생한 흰색의 균사 겹무늬썩음병 이병 과실 겹무늬썩음병 이병 과실

참고자료. Ⅰ

  • 사과나무의 역병(疫病)은 뿌리, 대목, 줄기 및 과실 등에 발생하며, 병원균은 Phytophthora cactorum과 P. cambivora 2종이 주로 발생에 관여한다. 토양중의 역병균은 2년 이상 생존하며, 지제부의 대목에 침입하여 목질부가 흑갈색으로 변하고 이병부위와 건전부 사이에 균열이 생기고, 역병에 걸린 나무는 갑자기 생육이 쇠약해지고 잎이 황변하여 조기에 낙엽되면 나무는 고사한다. 병원균은 주로 물로 이동하여 뿌리와 줄기의 지제부에 감염되며, 과실에는 병원균이 빗방울에 튀어 이병되고 상부로 옮겨 2차 감염을 일으킨다
  • 겹무늬썩음병은 줄기와 가지의 피목부위에 침입하며, 이병부위의 조직이 융기하여 사마귀 형태가 되는 것, 사마귀를 형성하지 않고 조피증상만 나타내는 것, 검붉은 암종을 형성하는 것 등 3가지 유형이 있으며, 과실에도 감염되어 윤문형태의 병반을 나타냄.
  • 줄기마름병은 쇠약한 가지에 주로 발생하며, 이병가지는 수피가 부패하여 병든 부위가 암갈색으로 변하면서 움푹 들어가고 상부의 가지가 갑자기 말라죽는다.

    출처 : 농업기술길잡이 사과재배. 2016. 농촌진흥청. 224, 234, 240쪽

참고자료. Ⅱ

아인산이란 무엇인가?

  • 아인산(H3PO3)은 인산(H3PO4)과 달리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지 않는 P-H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이 P-H 구조는 역병균이나 노균병균의 인산대사 작용을 방해하여 병원균을 직접 사멸시키거나 생장과 번식을 억제시키며, 식물체의 병 방어 시스템을 자극하여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인산은 용해성이 높은 결정체로 물에 잘 녹으며 식물체의 목질부와 사관부로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지상부와 지하부 뿌리에 발생하는 역병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 인축과 어류 및 미소동물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고 환경오염의 우려가 거의 없으며 일반 농약에 비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아인산은 일반 농약과는 달리 저항성균의 출현이 거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식물체에 대한 인산질 비료 효과는 낮고, 인산에 비해 식물체로 흡수가 잘 되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아인산을 양액에 투여하더라도 인산질 비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인산 과잉으로 발생되는 영양장애 발생의 우려도 적다.

아인산염 제조 방법과 사용 요령

  • 아인산은 강산성 물질로 식물체에 약해를 나타내므로 반드시 수산화칼륨(KOH)으로 중화시킨 뒤 사용해야한다. (아인산과 수산화칼륨은 화공약품상에서 판매, 제조가 어려우면 (주)대유의 대리점에서 아인산 액제를 구입 가능)
  • 아인산염 제조 방법은 물(증류수, 수돗물, 지하수 등)에 아인산을 녹인 다음 수산화칼륨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액의 산도(pH)를 약 5.5~6.5로 조절하면 된다.
  • 아인산과 수산화칼륨의 비율이 약 100:90(무게비)일 때 용액의 산도가 약 5.8~6.2 정도 된다.
  • 고농도의 아인산염을 제조할 때 열이 발생되며 유독가스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아인산을 완전히 녹인 다음 수산화칼륨을 소량씩 첨가하면서 천천히 녹인다 (수산화칼륨을 녹일 때는 스텐이나 철로 된 용기를 사용, 플라스틱 용기는 쭈그러듬).
  • 아인산과 수산화칼륨을 전체 사용량(10말 혹은 1 톤 등)에 녹이는 것 보다 소량의 물(1∼2말)에 녹여 산도를 조절한 다음 전체 사용량에 첨가하는 것이 편리하다.
  • 아인산염은 양액 첨가, 토양 관주, 지상부 살포, 묘 침지, 수간 주사 등 모든 처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사과나무 대목부 역병 방제는 6월 중순경 병반부를 박피처리한 후 아인산염제재를 1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임. 박피처리가 힘들 경우 아인산염 50배로 희석하여 6, 7월경 2회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임.

아인산염 처리 방법 및 추천 농도

아인산염 처리 방법 및 추천 농도
재배유형별 역병발생 전 (예방효과) 역병발생 후 (치료효과)
수경재배 100 ppm 200 ppm
토양 살포 500 ppm (2,000배 희석) 1,000 ppm
지상부 살포 1,000 ppm (1,000배 희석) 2,000 ppm (500배 희석)
수간주사 30,000 ppm (3% 용액) 50,000 ppm (5% 용액)

※ 제품 구입 시 제품의 권장 살포 방법에 따라 살포함

농도별 아인산염 제조 예시

농도별 아인산염 제조 예시
아인산염 농도 물 량 (지하수 등) 혼합비율(pH 5.8∼6.2)
H3PO3 첨가량(아인산) KOH 첨가량(수산화칼륨)
1,000 ppm (1,000 배액) 1 말 (20ℓ) 20g 18g
25말 (500ℓ) 500g 450g
1 톤 (1,000ℓ) 1,000g (=1.0 Kg) 900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