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정원의 설치

1. 옥상정원의 유형

대도시의 경우 생활권 공원면적 1㎡/1인 확보를 위해서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이처럼 지상에서 불가능한 녹지량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옥상이다. 건축물의 옥상을 정원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로는 건축물의 가치상승, 지상의무 조경면적을 대체, 에너지 비용의 절감 및 건축물의 보호효과 등 이 있다. 이러한 옥상정원의 시스템유형은 일반적으로 저관리 경량형(Extensive Green Roof System), 관리 중량형(Intensive Green Roof System), 그리고 혼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1. 옥상정원의 유형별 식재수종 및 녹화 방식 등의 비교
구분, 저관리 경량형, 관리 중량형의 옥상정원 유형별 식재수종 및 녹화 방식 등의 비교
구 분 저관리 경량형 관리 중량형
식재수목 소관목, 지피식물 아교목, 관목, 지피식물
토심깊이 2-12cm 20cm 이상(60-90)
대상건물 신축, 기존건물 신축건물
토양의 하중 경량(인공경량토) 중량(일반토양)
녹화방식 전면녹화 부분녹화
유지관리 관리요구 최소화 관수, 시비관리 필요

2. 유형별 설치기준

옥상정원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허용하중이 저관리 경량형 200 ㎏f/㎡이상, 혼합형 300 ㎏f/㎡이상, 그리고 관리 중량형 400 ㎏f/㎡이상 이어야 한다. 이 허용 하중을 기준으로 식생의 종류와 녹화 시스템을 구성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저관리 경량형
  • 이용개념이 배재된 유형
  • 최소 관리로 최초 식재한 식물이 이입종에 영향을 받지 않고 10-15년 지속
  • 낮은 토심(2-12cm), 경량형(100kg/m2 내외)
  • 지피식물 위주 식재 - 자생 세덤류(돌나물, 땅채송화, 애기기린초 등), 외래세덤류 등

식생충, 옥상토양층, 토양필터, 배수층, 방수/방근충, 구조체 순으로 이루어진 저관리 경량형 옥상정원 구조 단면그림 1. 저관리 경량형 옥상정원 구조 단면

혼합형
  • 경량형과 중량형 혼합
  • 이용개념 적용가능
  • 관리 필요
  • 낮은 토심(10-20cm) 부분적 마운딩
  • 지피, 관목류 식재
  • 기존 건축물에 이용 개념을 도입한 옥상녹화를 원할 때에 적용이 가능한 유형이다.

식생층, 옥상토양층, 토양필터, 배수층, 방수/방근층, 문근콘크리트, 기존방수, 구조체 순으로 이루어진 혼합형 옥상정원 구조 단면그림 2. 혼합형 옥상정원 구조

관리 중량형
  • 이용을 전제로 하는 녹화시스템
  • 관수, 시비, 예초, 전정 등 관리가 요구됨
  • 토심 20cm 이상
  • 지피, 관목, 아교목 식재
  • 구조적 안전성이 충분한 신축건물에 적용이 가능한 유형이다.

식생층, 옥상토양층, 토양필터, 배수층, 방수/방근층, 문근콘크리트, 기존방수, 구조체 순으로 이루어진 관리 중량형 옥상정원 구조 단면그림 3. 관리 중량형 옥상정원 구조

3. 옥상정원의 구성요소

옥상정원은 건축물의 외피인 옥상이나 지붕을 식물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옥상정원은 파괴된 자연지반과 이에 수반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건물 옥상에 생물 서식 기반을 제공하고 원예적인 활용을 유도하는 것이다. 옥상정원의 설치를 결정할 때에는 적용대상 건물이 기존 구조인지 신축 구조물인지 먼저 고려하여야 한다. 기존 건축물인 경우는 가능한 허용 적재하중 범위 내에서 시스템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신축건 물은 사전에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기존 구조물의 경우 설계된 허용중량이 얼마인지 먼저 파악하고 반드시 현장에서 구조안전진단을 통해 설치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필요시에는 구조를 보강해야 한다. 기존 방수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적합한 방수층을 새로 시공한 후 설치해야 한다.

낙역, 가지의 낙하, 대향으로 낙엽이 떨어지는 나무는 안쪽에 심는다. 난간 그물을 설치하여 안전사고 혜방. 지주를 설하여 수림, 교옥이 바람에 의해 쓰러지지 ㅇ낳도록 하며, 수림 전체로 바람을 막도록 한다. 맑은 수종은 식재하여 특정부분의 하중발생을 막는다. 멀칭 및 지피식물보식 토양의 유출을 막기 위해 부직포를 토양과 배수층 사이에 설치한다. 그물. 충분한 내성을 지닌 방수 사양을 채택한다. 뿌리니가 방수층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근대책 필요, 배수공에 막히므로 철망(그물)등을 정기적으로 점검. 하중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경량토 사용옥상녹화시 고려해야 할 물리적 측면

  • 난간 그물을 설치하여 안전사고 예방
  • 낙엽, 가지의 낙하·대량으로 낙엽이 떨어지는 나무는 안쪽에 심는다.
  • 지주를 설치하여 수림교옥이 바람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하며, 수림 전체로 바람을 막도록 한다.
  • 많은 수종을 삭제하여 특정부분의 하중 발생을 막는다.
  • 멀칭 및 지피 식물 보식
  • 토양의 유출을 막기 위해 부직포를 토양과 배수층 사이에 설치한다.
  • 하중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경량토 사용
  • 배수공에 막히므로 철망(그물)등을 정기적으로 점검
  • 뿌리가 방수층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근대책 필요
  • 충분한 내성을 지닌 방수사양을 채택한다.
표 3. 옥상정원의 시스템구성 및 기능
구분, 구성요소, 관리 중량형 순으로 보여주는 옥상정원의 시스템구성 및 기능
구 분 구성요소 관리 중량형
건축물 외피 구 조 안전진단
  • 옥상정원 시스템을 지지하는 구조전체 검토
  • 설계시 허용하중 및 구조적 보강가능성 등 검토
  • 반드시 구조물의 허용하중 현장조사 필요부분
방수진단
  • 옥상정원 시스템으로 인한 건물 누수차단 역할
  • 옥상정원 시스템의 내구성에 가장 영향을 주는 부분임
  • 구조진단과 함께 검토해야 할 전제조건임
식재기반 방근층
  • 식물의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
  • 시공시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
배수층
  • 옥상정원시스템이 침수되어 식물의 뿌리가 죽은 것을 예방
  • 하자발생이 가장 많은 부분이므로 신중하게 설계해야함
여과층
  • 토양이 빗물에 씻겨내려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과하는 기능
토양층
  •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하는 기반
  • 옥상정원시스템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경량화 노력 필요
식생층 식생층
  • 옥상정원 시스템의 최상부 구성요소
  • 유지관리를 위한 토양층의 깊이, 토양의 특성 고려 필요
  • 유형에 맞는 식생의 종류 및 관리방법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