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소
  • 오이
오이 주요 병해충 방제

오이는 재배시기에 따라 생리적 한계에 가까운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재배되고 있기 때문에 각종 병해충이 많이 발생한다. 오이 병해충의 정확한 예찰과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전남농업기술원
  • 2006 년
  • 11,457
시나리오

제 목 : 오이 주요 병해충 방제


  오이는 시설재배로 연중 생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절한 환경 속에서 재배하는 경우가 많아 여러가지 병해충이 많이 발생합니다.


1. 주요 병해

 

 가. 노균병


  노균병의 증상입니다. 노균병은 주로 봄, 가을에 잎에 발생하는 병입니다. 처음에는 담황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는데 나중에는 엽맥을 둘러싼 다각형의 전형적인 병반이 됩니다. 잎이 찢어지기 쉬우며 가장자리에서부터 잎이 표면으로 말려 올라갑니다. 시설 내 환기가 잘되도록 환기팬이나 에어믹스를 설치하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영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요소 0.5%액을 4~5일 간격으로 2~3회 엽면 살포하고, 적용 약제를 번갈아 살포하여 방제를 합니다.


 나. 흰가루병


  흰가루병의 증상입니다. 마치 오이의 잎에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흰 가루가 생기며, 병반이 오래되면 잎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버립니다. 방제법으로는 식물체의 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성 규산질, 인산질 비료액을 엽면 살포합니다. 흰가루병은 등록된 약제가 많으며 난황유 살포도 효과적입니다.


 다. 덩굴마름병

 

  덩굴마름병은 생육후반기나 오이가 착과가 많이 되어 수세가 안 좋을 때 많이 발생합니다. 방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종자소독을 하며 발생이 되었던 포장은 최소한 2년간 박과류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 바이러스병

  

  오이에서 발생되는 바이러스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쥬키니 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는 잎과 열매에 심한 기형증상을 유발하여 큰 피해를 줍니다. 바이러스는 방제약이 없기 때문에 우선 병을 전염시키는 진딧물을 철저히 방제해야 하며, 병에 걸린 포기는 즉시 제거해서 병이 더 이상 옮겨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 주요 해충

 

 가. 진딧물


  대표적인 해충은 진딧물입니다. 진딧물은 그 자체가 즙액을 빨아 먹어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그보다 바이러스를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방제는 시설물의 측창이나 천창에 한랭사를 설치해서 진딧물이 시설내로 날아오지 못하게 하고, 발생시는 적용약제를 쓰되 한 가지만 쓰면 내성이 생겨 효과가 떨어지므로 약제계통을 바꾸어 가며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 총채벌레


  오이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류는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등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꽃노랑총채벌레와 오이총채벌레가 주로 문제가 됩니다. 방제법으로는 우선 총채벌레가 잘 유인되는 백색이나 노란색 트랩을 시설에 설치하여 성충 발생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제방제는 발생초기에 밀도가 낮을 때 해야 합니다. 살충제 살포 횟수는 4~5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면 방제효과가 높지만 약제에 내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약제를 체계적으로 번갈아 살포하도록 합니다.

 

 다. 응애


  차먼지응애는 성충의 크기가 0.2㎜정도로 아주 작고 흰색 또는 투명한 몸체를 가지고 있어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피해원인을 몰라 방제시기를 놓치게 되어 피해가 큽니다. 잎이 앞, 뒤로 말리면서 잎 가장자리의 갈변 증상과 신초 위축으로 생장점 억제, 고사 피해가 나타나는데 피해 잎은 건전 잎보다 진한 녹색을 띠거나 두꺼워집니다. 약제를 살포할 때는 신초와 생장점 부위에 약액이 집중적으로 뿌려지도록 하며, 잎의 앞면보다 뒷면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잎 뒷면에도 약액을 충분히 뿌려줍니다. 약제는 2~3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 뿌리혹선충


  뿌리혹선충은 일반적으로 어린 모종보다는 수확기 때 많이 발생하는데 피해를 입으면 거의 수확을 못하며 노지재배 보다는 시설 내에서 연작을 했을 경우에 발생합니다. 방제법은 토양을 경운한 후에 입제를 뿌리고 약제가 잘 섞이도록 로타리 친 후 정식하면 됩니다. 여름철 작물이 없을 때는 태양열 소독을 하거나 1∼2년간 벼를 재배하여 선충밀도를 낮춥니다.


  오이는 대체로 수확한 상태, 그대로 먹는 과채류입니다. 부득이 농약을 사용할 때는 적용약제로 안전사용기준을 지켜 방제를 해서 고품질의 안전한 오이를 생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