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오이)

              

원예병해충

오이바이러스병

1. 병징

잎에는 처음 신엽에 황색으로 반문을 형성하고 또한 엽면에 작은 주름을 형성하면서 굴곡을 형성한다. 잎이 커짐에 따라서 황색모자이크 증상이 뚜렸해지며 주 전체가 위축한다. 품종에 따라서는 오래된 잎에 황백색의 검은 반점이 형성되는 것도 있다.


      

2. 발생생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직경 약 30㎚의 구상바이러스로 불활성화 온도는 70∼80℃에서 20분이면 불활성화 된다. 접목 및 즙액전염하며 해충 등에 의해서도 전염되고 토양전염이나 종자전염은 하지 않는다. CMV는 기주범위가 극히 넓어서 39과 117종의 식물에 기생하므로 다수의 잡초 및 백합과, 국화과 박과등의 작물부터 유익 해충에 의해서 운반되어 전염하는일이 많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초기증상

발병엽의 후기증상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초기증상

발병엽의 후기증상

WMV 발병과실

CMV 입자

WMV 발병과실

CMV 입자


가.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

CMV에 의한 경우처럼 황화하지 않고 신엽때 부터 확실한 진녹색 모자이크증상을 나타내며 성엽이 되어도 이것이 없어지지 않고 뚜렸하게 남는다. 병원의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는 끈모양의 바이러스로(WMV) 불활성화 온도는 55∼60℃에서 10분이고 희석한계는 500∼1000배, 보존한계는 5∼10일이다. 주로 진딧물에 의해 전염된다.


나.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1965년에 처음으로 발견된 것으로 그 해를 중심으로 중국 및 일본의 여러 지방에서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앞에 설명한 두 종의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증상이 심하고 특히 과실의 증상이 심하다.
잎에는 짙은 녹색의 명료한 모자이크를 형성하고 때로는 녹색부위가 탈색하기도 하며 기형으로 되는 것도 있다. 과실에서는 처음에 담황색의 원형 병반무늬가 나타나고 결국 황색부와 녹색부가 반점으로 되며 또 녹색부가 혹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또한 굴곡이 지기도 하는데 이때는 심한 기형으로 되기도 한다.
병원의 바이러스(CGMMV)는 TMV와 같은 그룹으로 300㎚의 봉상입자이며 불활성화 온도는 80∼90℃에서 10분, 보존한계는 1년이상, 희석한계는 100만배 이상이다. 병든 과실로 부터 채종한 종자에는 주변은 물론 내 종피의 부분에도 바이러스가 있어서 종자전염 한다. 발병된 포장에는 토양으로 부터도 전염한다.
2차적으로는 접촉에 의해 전염되어 피해가 확산된다이병주로 부터 작업시 손이나 접촉에 의하여도 전염되며 또 전년도에 감염된 하우스 내에 다시 이병성인 작물을 재배하면 토양내에 있던 바이러스가 뿌리상처를 통하여 감염된다.



3. 방제방법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는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며, 유시진딧물의 비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육묘시 망사를 설치한다. 두 종의 바이러스는 주변의 이병잡초와 이병작물이 전염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을 가능한 한 제거한다. 일단 발병하면 이들에 의해서 주변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빠른 시기에 발병주를 제거해야 한다. 터널재배에서는 터널 제거 시기부터 진딧물이 증가하기 때문에 진딧물을 철저히 방제한다. 하우스 재배에서는 창에 한냉사를 설치하고 유시진딧물의 비래를 막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노지에서는 은색테이프를 설치하고 은색비닐을 멀칭하면 유시진딧물의 비래를 막고 발병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병은 일단 발병후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예방위주로 철저하게 방제하고 유묘 정식전 진단용 키트에 의한 검정 후 정식한다.